경기 시흥시가 이재명 정부에서 추진하는 미래산업 정책의 중심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5일 시흥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2025년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미래혁신기반구축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핵심은 차세대 세포치료제인 CAR-X를 생산하고 검증하는 시설을 시흥 바이오 특화단지에 구축하는 내용이다.
CAR-X는 대량생산이 가능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세포치료제다. 시흥지역이 미래 바이오 산업의 새로운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대목이다.
특히 임병택 시흥시장이 지역 정치권과 힘을 모아 유치한 서울대병원이 임상 연구를 맡아 생산부터 임상까지 연계한 통합 시스템을 구축할 전망이다.
총 사업비는 140억 원 규모다. 서울대 시흥캠퍼스에 유전자치료제 자동화 생산설비(GMP)와 66종의 시험ㆍ평가 장비가 들어선다.
사업에는 시흥시와 경기도, 서울대·서울대병원, 한국공학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시흥산업진흥원 등이 함께 참여한다.
CAR-X 개발에는 다양한 첨단 장비와 소재가 필요해, 지역 기업들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
시는 이번 사업을 기반으로 바이오기업 유치와 소부장 산업 고도화를 도모할 방침이다. 이른바 배곧·월곶·정왕을 연결하는 다핵형 바이오 벨트 전략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6월 국가 바이오 특화단지에 선정된 이후, 종근당과 KTR을 유치했다. 또 국내 최초 진료·연구 융합형 미래병원인 시흥배곧서울대병원이 지난 8월 착공에 들어가는 등 글로벌 바이오 허브로 성장하고 있다.
임병택 시장은 "시흥시가 추진해 온 바이오 특화단지 조성의 실질적 성과"라며 "국가 첨단 바이오산업의 실증 거점 도시 도약에 행정력을 쏟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