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강릉지역에 사상 최악의 가뭄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김민석 국무총리가 5일 가뭄 현장을 찾아 제한급수에 따른 주민불편을 청취하고, 가뭄을 극복할 수 있는 대책 등을 논의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오후 강릉시 교동의 한 주택가를 가장 먼저 방문해 제한급수로 인한 주민불편과 어려움을 청취했다. 이어 홍제정수장으로 이동한 김 총리는 지난 달 30일 재난사태 선포와 함께 소방총동원령으로 전국에서 집결한 소방차 81대의 급수지원 상황을 점검했다.
김 총리는 "강릉시민의 생명줄을 지켜주는 소방관 여러분의 헌신에 감사드린다"며 충분한 휴식 보장과 안전 운행 등을 당부했다.
이후 강릉시청에서는 강원도와 행안부, 환경부, 한국농언촌사 강원지역본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가뭄 대책 회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김 총리는 "여러 기대를 했지만 9월까지 만족할 만한 그런 비를 지금 기대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10월부터 2월까지는 강릉지역의 특성상 비를 기대하기 어려운 그런 상황"이라며 "현재와 같은 기본적인 구조가 내년 2월 정도까지는 계속될 수 있는 만큼 시민들에게 어려운 상황을 공유하고 대처 준비도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절수를 시작했지만 관광 시즌이 끝나서 자연 감소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아직까지 그렇게 눈에 띄는 그런 절수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기는 좀 어렵다"고 지적하며 "각 가정과 아파트를 비롯해 특히 공공기관이 모범을 보여줘야 하는데 그런 것들이 철저하게 되고 있는 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어 행안부에서는 오봉댐 저수율 '0%' 도달 시에도 하부에 남은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수자원공사는 가뭄이 지속되는 상황을 대비해 '이동형 컨테이너 해수담수화 설비'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김 총리는 "최악의 상황이 온다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몇 가지 되지 않는 것이 냉엄한 현실"이라며 김홍규 강릉시장을 향해 "시민분들과 허심탄회하게 모든 대안을 두고 논의하고, 늦지 않게 결정해 주길 바란다. 정부도 강릉시와 시민들의 결정 대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