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이성권 국회의원실은 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부산의 미래를 논하다, 글로벌허브특별법으로 열어가는 북극항로 시대'를 주제로 토론회를 연다고 8일 밝혔다. 토론회에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회의원, 부산지역 국회의원, 행정안전부, 국무조정실, 해양수산부 등 관련 중앙부처, 부산시, 부산상공회의소 등 유관기관, 청중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
토론회는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하고 북극항로 개척 시대에 먼저 대응하기 위한 기반인 '부산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이하 특별법)'의 입법 타당성을 알리고 정책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했다. 개회 선언과 내외빈 소개 및 축사 등을 시작으로 △'부산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의 의미와 주요내용' 발표 △'북극항로 시대와 부산의 역할' 발표 △'대한민국 성장전략, 거점도시 중심 균형발전' 발표 △종합토론 △질의응답과 폐회 순으로 진행한다.
'부산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의 의미와 주요 내용'은 이경덕 시 기획관이 발표한다. 특별법은 지난해 5월 22대 국회 개원과 동시에 부산지역 여·야 국회의원 전원 공동으로 발의해 필요성에 대한 여야 공감대가 형성됐고, 관계부처와 협의가 완료된 상태다.
이어 '북극항로 시대와 부산의 역할'에 대해 서울대학교 김태유 명예교수가 발표한다.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해, 대한민국 거점항구가 부산항 중심으로 자리 잡아야 하는 필요성과 전략적 방안을 제시한다.
'대한민국 성장전략, 거점도시 중심 균형발전'은 한국은행 정민수 지역경제조사팀장이 발표한다. 수도권 집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소수의 거점도시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지역 간 성장 불균형 해소에 효과적이라는 정책 제언을 한다.
이후 주제발표에 대해 (사)국가생존기술연구회 김인환 회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김근섭 항만연구본부장, 이명호 부산국제금융진흥원장, 국토연구원 이승욱 국·공유지연구센터장이 종합토론을 이어간다. 시는 대한민국 균형발전과 북극항로 개척이 매우 중요한 시대적 과제인 만큼, 이번 토론회가 특별법의 의미와 부산의 미래를 논의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