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위성 이미지 속 보안 시설을 가리라는 대한민국 정부의 요구를 수용하겠다고 9일 밝혔다.
크리스 터너 구글 대외협력 정책 지식·정보 부사장은 9일 서울 강남구 오토웨이타워에서 열린 '구글 지도 기자 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터너 부사장은 "구글은 지도 데이터 반출 신청과 관련해 그간 제기됐던 우려 등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 정부와 협력을 강화한다"며 "위성 이미지 속 보안 시설을 가림 처리하는 것에 더해 한국 영역의 좌표 정보를 구글 지도의 국내외 이용자들에게 보이지 않도록 조치하라는 한국 정부의 요구 사항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는 군사 및 보안상 이유 등으로 1대 2만5천 축척보다 자세한 고정밀 지도는 해외 반출을 금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구글 측은 위성 사진 등에서 실제 위치와 오차가 발생한다는 문제를 제기해왔다.
이에 구글 측은 지난 2011년과 2016년 지도 반출을 요청했지만, 정부는 군사기지 등 보안시설 정보가 담긴 지도 데이터를 해외 서버에 두면 정보 유출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불허했다. 지난 2월에도 구글은 고정밀 지도 데이터의 해외 반출을 요청했고 정부는 오는 11월 11일 구글의 요청을 받아들일지 여부를 논의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터너 부사장은 "구글이 정부에 반출을 신청한 지도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제작한 1대 5천 국가 기본도로 이는 한국 정부가 이미 민감한 군사·보안 정보를 제외하고 제공한 데이터다"라고 전했다.
구글은 티맵모빌리티 등 대표적인 지도 서비스도 1대 5천 축척 국가 기본도를 베이스맵으로 사용하고 있고, 길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1대 2만5천 축척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한편 정부가 요구한 국내 데이터센터 설치 여부에 대해서 유영석 구글코리아 커뮤니케이션 총괄은 "데이터 센터를 특정 지역에 설립하는 건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며 "한국 정부가 원하는 즉각적인 대응을 위해 책임자 두고 핫라인을 거쳐 우려 사항을 적기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정부와 얘기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와 함께 위성 이미지에 대한 우리 정부의 우려와 관련해 터너 부사장은 "구글이 보유한 위성 이미지는 반출 신청 대상인 국가기본도와 무관하다"라며 "전 세계 상업 이미지 공급업체로부터 구매한 자료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구글은 한국 정부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지도와 구글 어스에서 민감 시설에 대한 가림 처리 등 추가적인 보안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터너 부사장은 "구글은 한국 정부와의 협력을 지속하는 한편 티맵모빌리티 등 국내 기업과의 파트너십도 강화할 것"이라며 "필요한 경우 이미 가림 처리된 상태로 정부 승인된 위성 이미지를 국내 파트너사로부터 구입해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