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출석왕'·김도읍 '입법왕', 김희정 '출석률 꼴찌'…부산 국회의원 성적표 공개

전재수 해수부 장관이자 부산 유일 여권 국회의원이 지난 1년 국회 본회의 출석률 1위를 기록해 성실성을 입증했다. 황진환 기자

부산경실련이 발표한 제22대 국회의원 1년차 의정활동 평가에서 전재수 의원은 본회의 출석률 1위로 성실성을 입증했고, 김도읍 의원은 법안 발의 최다로 '입법왕'에 올랐다. 반면 김희정 의원은 본회의 출석률 꼴찌라는 불명예를 안았고, 주진우·정연욱·김대식 의원은 발의 건수가 하위권으로 평가됐다. 본회의 출석률은 소폭 올랐으나 상임위 출석률은 큰 폭으로 떨어져 심층적 의정활동이 약화됐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본회의 출석률 – 전재수 '개근', 김희정 최저

10일 부산경실련에 따르면, 부산 18명의 국회의원 본회의 평균 출석률은 85.71%로 21대보다 1.53%p 상승했다.

부산 유일 여당 의원인 전재수(북구갑·더불어민주당) 의원은 94.64%로 가장 높은 출석률을 기록하며 사실상 개근에 가까운 성적을 거뒀다.

정동만(기장군), 서지영(동래구), 박수영(남구), 조승환(중·영도구) 의원도 89%대 출석률로 상위권을 형성했다.

반면 김희정(연제구·국민의힘) 의원은 76.79%로 꼴찌였고, 김대식(사상구·국민의힘) 의원도 80.36%로 평균을 밑돌았다.

부산경실련은 "출석은 의정활동의 기본"이라며 "지속적으로 하위권에 머무는 의원은 시민 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상임위 출석률 21대보다 9%p 급락, 정부 감시 약화

상임위원회 출석률은 평균 78.63%로 21대보다 9.36%p 떨어졌다.

김대식 의원은 국회운영위원회 출석률이 12.5%에 그치며 평균 47.22%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서지영(52.78%), 백종헌(57.69%) 의원도 하위권이다.

반대로 박수영(남구)과 전재수 의원은 상임위 출석률 100%를 기록했으며, 조승환 의원도 51일간 열린 회의에서 96% 이상 출석했다.

부산경실련은 "상임위는 법안 심사와 정부 견제가 이뤄지는 핵심 공간"이라며 "출석률 저조는 정책 검증과 예산 심사에 구멍을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법안 발의 – 김도읍 '입법왕', 주진우·정연욱·김대식 하위권

부산 의원들이 1년간 발의한 법안은 총 571건으로, 대부분(92%)이 일부개정법률안이었다.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자 부산 강서구 국회의원인 김도읍 의원이 부산지역 의원 18명 중 가장 많은 법안을 발의했다. 연합뉴스

김도읍(강서구·국민의힘) 의원은 86건으로 부산 최다, 박성훈(북구을) 64건, 이헌승(부산진구을) 55건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주진우(해운대갑·6건), 정연욱(수영구·9건), 김대식(사상구·12건) 의원은 부산에서 발의 건수가 가장 적은 하위권에 속했다.

특히 정연욱 의원은 가결률이 55.6%로 높지만 발의 건수가 적어 '작은 모수 효과'라는 지적을 받는다.

주진우 의원은 가결률 0%로 성과가 전무했고, 김대식 의원도 가결률이 8.3%에 그쳤다.

부산경실련은 "발의 건수가 적은 의원들은 입법활동에 소극적이라는 인상을 준다"며 개선을 요구했다.

지역 맞춤형 법안은 긍정 평가…최다 발언은 곽규택 의원

부산 현안을 반영한 입법은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이헌승·전재수 의원이 공동 발의한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조성 특별법안>, 정동만 의원의 <남부권 개발 특별법안>, 김미애 의원의 <부산 덕성원 피해사건 진상규명법>, 박수영 의원의 <한국산업은행법 개정안> 등은 부산의 미래 비전을 담은 상징적 성과로 꼽혔다.

국민의힘 곽규택 의원이 지난 1년동안 부산 의원 18명 중 가장 많은 발언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종민 기자

평균 발언수는 1090회였으며 곽규택(서·동구) 의원이 2725회로 가장 많았다.

박수영(1927회), 전재수(1840회) 의원도 활발하게 토론에 참여했다.

반면 백종헌(금정구) 의원은 188회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부산경실련이 10일 부산 국회의원 18명의 지난 1년차 의정활동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부산시의회 제공

부산경실련은 "단순 발언 횟수보다 정책 대안 제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도한영 부산경실련 사무처장은 "발의 건수만 늘리거나 정치적 의도에 치중한 법안 반복 발의는 지양해야 한다"며 "시민 공감대를 얻는 질적 입법과 상임위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또한 "부산 의원들이 본회의뿐 아니라 상임위에서도 정부 감시와 정책 검증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