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민 당국에 의해 체포·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의 귀국 절차가 지연된 이유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이들에게 귀국 대신 미국에 계속 체류할 것을 권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외교부 관계자는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당초 이날 출발 예정이던 구금 한국인의 귀국이 돌연 연기된 배경인 '미국 측 사정'이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의 면담 과정에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오늘 오전 조 장관이 루비오 장관을 만나서 이야기를 들어보니 미국 측 사정이라는 게 트럼프 대통령이 '구금된 한국 국민이 모두 숙련된 인력이니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미국에서 계속 일하면서 미국의 인력을 교육·훈련 시키는 방안과, 아니면 귀국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의 입장을 알기 위해 귀국 절차를 일단 중단하라 지시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어 "조 장관은 우리 국민이 대단히 놀라고 지친 상태여서 먼저 귀국했다가 다시 (미국에 돌아와서) 일하는 게 좋겠다고 얘기했다"며 "미국(루비오 장관)도 우리 의견을 존중해 귀국하도록 하겠다고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외교부 관계자는 구금자들의 호송 과정에서 신체적 제약을 두는 방식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미 당국의 엄격한 호송 규정에도 우리가 강력히 요청한 대로 수갑 등의 신체적 속박 없이 구금 시설에서 공항으로 호송할 것을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일부 보도에서 '미국 측 사정'이 구금시설에서 공항까지의 호송 과정에서 수갑 등 신체적 제약을 두는 방식을 두고 이견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이처럼 한국을 배려한 것은 성공적인 한미 정상회담에서 형성된 정상 간 깊은 유대가 바탕이 됐고, 우리 정부가 구금 사태에 대해 일관되게 입장을 밝혀온 결과"라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우리 국민이 석방돼 안전하게 귀국할 때까지 미측과 계속 긴밀히 협의하고 최선을 다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