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서울 집값 상승세 지속…주택시장 안정 더 지켜봐야"

"6·27 대책 효과 약화 가능성…주택시장 과열 가능성 유의"

류영주 기자

11일 한국은행은 6·27 가계대출 규제 후에도 서울 일부 지역 아파트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주택시장과 가계부채의 추세적 안정 여부는 더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15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에서는 7월 이후에도 상승 거래와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한은은 6·27 대책의 효과가 일부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은 가격 상승 폭이 줄어드는 등 과열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다.
 
구체적으로 6억원 초과 주택담보대출 제한의 영향을 받는 규제 지역의 12억원 초과 주택(담보인정비율 50%)의 거래 비중은 6월 33.9%에서 7월 23.2%로 10.7%포인트(p) 감소했다.
 
수도권 내 주택구입 시 전입신고 의무 강화로 갭투자 등 투기적 거래도 상당 폭 감소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대책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도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6월의 3분의 1 수준으로 크게 줄었고, 8월에는 5~6월 증가한 주택 거래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규모가 다시 커졌지만 폭은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한은은 지역 간 전이 효과와 과거 부동산 대책 학습 효과 등으로 6·27 대책의 효과가 점차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수도권 주택시장이 다시 과열되고 가계부채 증가세도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며 "위험 요인이 잠재한 만큼 주택시장과 가계부채 상황의 추세적 안정 여부는 좀 더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종우 한은 부총재보는 "서울 주요 지역의 집값이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고, 그 수준도 낮다고 할 수 없어 계속 경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