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내란 및 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으로부터 '임무 수행을 마친 정보사 요원들을 폭사시켜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폭로한 정보사 출신 장성을 조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11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내란특검은 최근 박민우 육군 2군단 부군단장(준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박 준장은 지난해 정보사 100여단장(당시 900여단장)으로 근무했다.
박 준장은 지난 2월 국회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한 바 있다.
당시 박 준장은 자신이 2016년 속초 HID 부대장으로 근무할 때 노 전 사령관으로부터 받은 지시에 대해 폭로했다. 대북 관련 중요 임무를 6개월간 준비했는데, 노 전 사령관이 요원들에게 '원격 폭파 조끼'를 입혀 보낸 뒤 임무를 마치면 폭사하라고 지시했다는 것이다.
박 준장은 노 전 사령관이 'NLL 폭사' 등을 적은 수첩을 거론하며 "노 전 사령관이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건 제 경험 때문"이라며 "그런 그 사람의 잔인한 면, 반인륜적인 면을 봤기 때문에 계엄 수첩에 적힌 용어들이 낯설지 않았다"고 말했다.
특검은 박 준장에게 실제로 노 전 사령관으로부터 그런 지시를 받은 게 맞는지 등을 조사한 것으로 보인다.
박 준장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이 주도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인사 전횡의 피해자이기도 하다.
박 준장은 지난해 6월 정보사 100여단장으로 근무하던 중 직무 배제 조치된 뒤 정보사가 아닌 2군단으로 소속을 옮겼다.
당시 박 준장은 문 전 사령관과 마찰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준장은 정보사 휴민트(HUMINT) 재건을 위해 이른바 '광개토 사업'을 상부에 보고하며 추진하고 있었는데, 문 전 사령관이 이를 돌연 문제 삼으며 상호 법적 대응으로 이어졌다.
결국 박 준장은 직무 배제에 이어 최근 항명 등 혐의로 군검찰에 의해 기소됐다. 반면 박 준장이 문 전 사령관을 폭행, 무고,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로 고소한 사건은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모두 불기소 처분됐다.
박 준장 측은 "군검찰의 공소권 남용이자 부당하고 편파적인 기소"라며 "박 준장 제거 시도와 계엄의 연관성에 대해 특검 수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