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가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만 5천t(정곡) 공급하기로 했다. 지난 8월 3만t의 정부양곡을 공급했지만 햅쌀이 본격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산지 쌀값을 안정시키는데 추가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t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했다.
또 잔여 물량도 2주 정도 안에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번에 추가로 2만 5천t(정곡)을 공급해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에 대한 어려움을 충분히 해소해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0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t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 지난 8월 3만t 정부양곡 대여 공급 대상과 같다.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웹사이트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해 대여 물량이 배정될 예정이며 물량을 배정받은 업체는 지정된 정부양곡 보관창고에서 9월 19일부터 물량을 인수할 수 있다.
이번에 공급하는 정부양곡은 벼로 재판매하는 것을 제한하고 햅쌀 출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10월 17일까지 쌀로 판매해야 한다. 농식품부는 판매 완료 여부에 대한 감독과 함께 신·구곡 혼합 유통 단속도 벌일 방침이다.
이번 정부양곡을 추가로 공급받은 업체는 2025년산 신곡을 2026년 3월까지 정부 창고로 반납해야 하고 반납 물량은 2025년 8월 평균 산지쌀값, 2025년산 수확기 쌀값, 도정수율 등을 감안해 추후 결정된다.
한편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5일 산지 쌀값은 80kg 한 가마에 22만 3240원으로, 지난 8월 25일보다 2.2%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