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추진 중인 '프랑스 퐁피두 국립예술문화센터 부산 분관'(이하 퐁피두 미술관) 건립안이 논란 속에서도 시의회 문턱을 넘었다.
부산시의회는 12일 열린 제331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2026년도 정기분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을 표결에 부쳐 재석의원 31명 중 찬성 다수로 가결했으며, 반대표는 전원석 의원 1명뿐이었다.
전원석 의원(사하구2, 더불어민주당)은 표결 직전 반대토론에 나서 "부산의 미래와 시민 세금이 걸린 중대 사안임에도 재정부담, 환경적 위험, 공론화 부족 등 핵심 위험이 해소되지 않았다"며 "졸속 추진은 시민들에게 막대한 재정적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부산시 추산에 따르면 퐁피두 미술관은 연간 운영수입 50억 원, 지출 126억 원으로 70억 원대 구조적 적자가 예상되며, 재무적 순현재가치(FNPV –1,697억 원), 수익성지수(PI 0.25) 등 경제성 평가도 재무적 타당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의원은 또한 공론화 과정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라운드테이블과 설명회를 열었지만 시민사회·예술계의 의견이 극명히 갈렸고 현장에서는 소란까지 발생했다"며 사회적 합의 부족을 강조했다.
이기대 공원 일원의 교통·주차 문제, 생태축 훼손, 빛공해 등 환경 리스크도 지적했다.
특히 협약서가 영문·프랑스어로만 작성된 점, 프랑스법을 준거법으로 규정한 조항 등을 "밀실 행정의 표본"이라 비판하며 "부산시가 브랜드 사용료, 세금, 보험료까지 부담하는 굴욕적 계약"이라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지금 필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라 검증과 신뢰"라며 부결을 촉구했지만, 시의회는 계획안을 통과시키며 사실상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