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 무력과 함께 실제 전장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남한에 비해 크게 뒤떨어진 재래식 무기개발도 주력할 방침을 밝힌 것이다. 9차 당 대회에는 핵 무력 강화 목표와 함께 상용 무력, 즉 재래식 무기개발의 목표도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북한의 대외매체인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11일과 12일 국방과학원 장갑방어무기연구소와 전자무기연구소를 방문했다. 특히 12일에는 평양지구 훈련 기지를 찾아 저격수 부대들의 사격경기를 참관했다.
이틀 동안의 군사행보는 노동신문에는 실리지 않고 대외매체인 조선중앙통신에만 보도됐다. 북한 매체들은 김 위원장의 공개 활동을 과거 관례적으로 노동신문에 대부분 보도했으나 최근에는 대외매체에만 보도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여기에는 대외용 메시지를 부각시키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특수복합 장갑개발실태와 최종도입 전 시험공정에 있는 지능형 능동 방호종합체의 반응시험, 효과적인 상부공격방어구조물의 각이한 설계방안을 비롯한 장갑 방어부문의 연구사업실태를 구체적으로 요해"하고 "지향성적외선 및 전파교란 장비와 능동방호종합체, 피동방호수단들이 성과적으로 개발 도입됨으로써 장갑무력의 전투력은 비상히 강화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각종 반 탱크미사일 실탄사격에 의한 정면 및 측면, 상부공격에 대응하는 신형능동방호체계의 종합가동시험"이 있었으며 "시험을 통하여 탐지체계와 회전식요격탄발사기들의 반응성이 대단히 높으며 새로 개발된 능동방호체계가 매우 우월하다는 것이 실천적으로 검증"됐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전자무기연구소를 방문해서는 핵·상용 무력 병진정책을 9차 당 대회에서 제시할 방침을 언급하면서 "국방과학원이 당의 강군건설 노선을 높이 받들고 상용무력을 현대화하기 위한 사업에서 계속 기치를 들고나갈 데 대한 믿음을 표시"했다고 했다.
평양지구 제 33훈련기지에서 열린 수도경비사령부 저격수 부대와 중앙안전기관 특별기동대 저격수 부대의 사격경기는 "양 팀에서 10명의 저격수들이 1000m와 1500m계선의 원형목표를 사격한 점수를 종합평가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김 위원장은 저격수역량 양성규모와 전군적인 저격수 편제방안에 대한 방향, 이를 위한 대책을 제시하면서 "모든 저격수들을 백발백중, 일발필중의 능숙한 '사냥군'들로 키우기 위해서는 그들이 극한 전투상황을 직접 체험도 해보고 그에 숙달할 수 있는 종합 훈련 기지들을 과학적으로 잘 꾸리는 문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이 언급한 '극한 전투상황의 직접 체험'은 저격수 부대의 러시아 파병 상황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지난 5월 중요 탱크공장을 시찰한 바 있으며 지난달 말에도 저격 훈련을 참관했다.
통신에는 김 위원장이 망원경으로 미사일 실탄사격장면을 보고, 전면 위장복인 길리 슈트 차람의 저격병들을 격려하는 다수의 사진이 실렸다.
한편 김 위원장은 12일 룡강군병원건설현장을 방문해 "군대는 적과도 싸워 이겨야 하지만 우리 시대에 잔존하고 있는 지방의 시대적 낙후성과도 싸워야 한다"며 군인들의 병원건설을 독려했다.
병원건설 현장 방문은 김 위원장이 지난 8일 구성시 병원 건설현장을 찾은 뒤 나흘만이다. 오는 10월 10일 당 창건 80주년을 앞둔 경제 실적 챙기기 행보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