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미국과의 관세 후속 협상 상황과 관련해 "다양한 부분을 열어 놓고 협상에 임하고 있다"며 "협상 기간과 국익이 꼭 연결된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5일 오전 브리핑에서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국익 훼손 측면이 있는 건 아니냐'는 질문에 "어떤 근거로 말하는지 잘 이해가 안 된다"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출범한 지 100일이 조금 지났고 다른 정부가 그 전부터 관세 협상을 시작한 점을 보면 '장기화'라고 말하기 어렵다"며 "장기화 근거를 만들어서 말씀해주시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또 자동차에 25% 관세가 적용돼 기업 피해가 우려된다는 지적엔 "국익은 기업 이익과 손해를 포함해 전체적인 국부나 외환보유고, 국제적 경제 질서 안에서 한국의 위치 등 모두를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고 답했다.
강 대변인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 때 대통령이 말한 거처럼 국익에 훼손되지 않는 방향을 최우선으로 두고 무리한 요구가 있다면 국익 보전을 목표로 협상해 나가겠다는 원칙은 달라진 게 없다"며 "외환시장 영향도 충분히 고민하면서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관세 협상 백지화' 의견에 대해선 "국익이 더 보전되는 측면이 있다면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한 방향에 무기를 싣고 협상이 진행되는 상황은 아니다"라며 "가장 최적의 지점을 찾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조지아 한국인 구금 사태와 관련해 미국 측 사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질문엔 "정확하게 확인되고 있지 않지만 발생 초기부터 우리 정부는 미국 측에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며 "법 집행 과정에서 우리 국민의 권익이나 인권이 부당하게 침해돼선 안된다고 공식적으로 요청한 바 있다"고 답했다.
강 대변인은 "최단 시일 내에 구금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과 안전한 귀국, 고통 경감 문제를 요구 사항으로 저희가 제시했고 이를 수용하고 개선한 부분이 있다"며 "지금도 우리 측이나 미국 측에서 미진했던 부분은 없는지, 요구가 잘 수용돼 개선됐는지는 외교부에서 들여다보고 기업에서도 알아보고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