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16일 세종보 인근에서 보 재가동 등에 반대하며 농성을 이어가고 있는 일부 환경단체에 원상회복 의무를 부과하는 계고문을 전달했다.
일부 환경단체가 지난해 4월부터 현재까지 500일 넘게 한두리대교 밑 세종보 인근 하천과 하천 변을 무단으로 점유하고 세종보 철거를 요구하며 불법 농성을 하고 있다고 시는 계고문 전달 이유를 밝혔다.
시는 계고 기한 내 자진 철거가 이행되지 않으면 변상금 부과와 고발 등에 나서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시는 환경부에 장관 면담을 다시 한번 공식 요청했다. 세종보 재가동을 둘러싼 정부의 반복적인 의사결정 번복과 이에 따른 갈등을 종결하기 위해 찬반 양측이 고루 참여하는 공론의 장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세종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소속 9개 단체는 세종보 재가동 중단을 약속한 김성환 환경부 장관 정책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연후 '세종보 가동 추진 주민 협의체' 집회에 참석한 최민호 세종시장을 향해 "기후 위기라는 시대적 흐름과 물 환경 정책 취지에서 역행하는 반환경 시장임을 인정했다"고 규탄했다.
이들은 이날 성명을 통해 "최민호 시장은 세종보 재가동 중단에 시민 협의가 없었다고 하지만, 이는 적반하장격"이라며 "세종보 천막 농성 500일이 넘는 시간 동안 금강낙동강영산강 보철거를 위한 시민행동에서 수차례 열린 공론 자리를 요구했으나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다가 기자회견에서 던지듯 토론을 제안한 것도 적반하장격"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금강 재자연화 정책의 핵심은 하천의 흐름을 가로막고 있는 세종보를 철거해 역동성 있게 강물이 흐르게 하는 것"이라며 "강물은 흘러야 건강해지고 그래야 생명이 깃든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세종보는 재가동이 아니라 철거가 답"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