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국민의힘 박충권 의원과 정동영 통일부장관이 대북 정책을 두고 크게 충돌했다. 박충권 의원은 탈북민 출신이다.
박충권 의원은 16일 대정부질문 초반 북한이 억류하고 있는 우리 국민들을 언급하며 "이 분들 생사는 확인되느냐"고 물었다.
이에 정동영 장관은 "생사를 확인하려면, 협상해야 한다. 협상하려면 대화해야 한다. 대화하려면 접촉해야 한다.일체 접촉이 끊어진 상황이 6년"이라고 답했다. 박 의원이 "저분들의 국내 송환을 최우선으로 협상하겠는가"라고 묻자 정 장관은 "당연하다"라고 답했다.
이렇게 시작된 이들의 질답은 이내 고성과 날 선 말로 이어졌다.
박 의원은 북한이 러시아 파병으로 외화를 크게 벌어들인 점을 언급하며 북한이 대화의 자리로 나오겠느냐고 물었다. 박 의원은 "(북한이) 돈도 필요 없는데 어떻게 대화로 끌어낼 것인가"라며 "북한이 지금 체제 위협을 느끼고 있는가"라고 물었다. 체제 위협을 느끼지 않는 북한이 대화의 자리로 나올 가능성이 없다는 뜻이다.
그러자 정 장관은 "북에게 대한민국 자체가 최대 위협이다. 북한의 GDP가 40조 원인데, 대한민국은 2천조 원이다. 대한민국의 존재 자체가 그들에겐 위협인 셈"이라고 답했다.
이에 박 의원은 "진실을 호도하고 있다. 우리가 먼저 북한에 도발한 적이 있는가. 모든 도발은 북한이 먼저 했다"고 반발했다.
정 장관은 "(대한민국이) 먼저 도발한 적 있다"고 박 의원의 말을 곧장 반박했다.
정 장관은 "(대한민국은) 2024년 10월 1일, 10월 9일, 10월 10일 세 차례에 걸쳐서 평양 상공, 조선노동당 청사 상공에 비행기로 전단을 살포했다"며 "계엄·쿠데타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서 북한과의 무력 충돌을 유발할 천인공노 범죄를 저지른 것이 윤석열 정권이다. 반성하라"고 말했다.
박 의원과 정 장관의 질답은 곧장 본회의장 내 여야 의원들의 고성으로 번졌다.
두 사람은 '대북 확성기 중단 문제'를 두고 재차 충돌했다. 박 의원은 "2015년에 북한이 목함지뢰 도발을 했고 이후 사과했다. 북한 최초의 사과였고, 절대 존엄인 김씨 일가 입장에선 치욕이었을 것"이라며 "그것의 단연 1등 공신은 대북 확성기였다. 그것이 곧 대북 레버리지"라고 주장했다. 이어 "대북 확성기, 대북 라디오 모두 포기하지 않았는가"라고 했다.
이에 정 장관은 "대북 확성기와 전단이 레버리지라고 생각하는 그 생각은 우리 국민들이 동의하지 않는다"라며 "접경지역에 사시는 분들은 대북 확성기로 얼마나 많은 고통을 받았는가. 그건 자해행위"라고 주장했다.
두 사람은 계속 이견을 보였고 결국 박 의원이 "얘기가 안 통한다. 들어가시라"라고 했다. 자리에 서서 들어가고 있지 않던 정 장관은 "박 의원님은 '먼저 온 통일'이라고 일컬어지는 3만 4천명 북향민의 명예를 대표한다. 이 자리는 품격의 자리"라고 말했다. 그러자 박 의원은 "탈북민과 북한 주민을 모독하지 말라"고 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