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5일 취임 후 첫 현장 일정으로 학교를 방문해 고교학점제 수업을 참관한 데 이어 16일에는 전국 시도교육감들과 고교학점제 간담회를 열었다.
최 장관은 이날 충북 청주 엔포드호텔에서 시도교육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잠재력을 키우고 미래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는 인재로 키우는 데 필수적인 제도"라면서도 "학교 현장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교육부에서는 지난 7월 학생·교사·학부모 등이 함께하는 '고교학점제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며 "학교 현장의 부담은 덜고, 학생들의 진로 학업 설계 지원은 강화하며, 지역·학교 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학교와 시도교육청 등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여러 의견을 토대로 개선 방안을 마련해 고교학점제가 현장에 제대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자문위원회가 지난달 회의를 끝으로 활동을 마친 만큼 조만간 개선안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최 장관은 전날 충남 금산군 금산여고를 방문해 수업을 참관하고 학생, 교사와 고교학점제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올해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전면 시행 중인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 기준에 도달한 과목에서 학점을 취득해 졸업하는 제도다.
하지만 교사노동조합연맹(교사노조)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지난달 5일 기자회견에서 "준비되지 않은 졸속 시행으로 학교 현장을 극심한 혼란과 과부하 상태로 몰아넣고 있다"며 고교학점제를 전면 개선하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교사들이 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여기는 부분은 '최소성취수준 보장지도'다. 고교 3년간 총 192학점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고, 학생들이 학점을 따려면 '최소성취수준'을 충족해야 하는데 여기 미치지 못하면 교사가 보충지도를 해줘야 한다.
'최소성취수준 보장지도'는 과목별 출석률 3분의 2 이하, 학업성취율 40% 이하의 학생들도 보충 지도를 통해 학점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이 제도가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게 교사들의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