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국가AI데이터센터 등 국내 유일의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대표 모빌리티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본격적인 발걸음을 뗐다.
광주광역시는 17일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광주·전남 대도시권 만들기 위한 AI 모빌리티 신도시 구상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광주지역 국회의원 8명이 공동주최하고 광주시와 광주연구원이 공동주관한 이번 토론회에는 국회와 정부, 연구기관, 기업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토론회는 광주 핵심 공약인 '대한민국 대표 모빌리티 도시 조성'이 국정과제에 반영됨에 따라 비전을 공유하고,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강기정 시장 "AI·자동차 융합으로 신성장 동력 창출"
강기정 시장은 주제발표에서 "광주는 국내 제2의 자동차 도시로서 AI와 모빌리티를 결합한 AI 모빌리티 신도시를 조성해 시민의 일상과 산업 혁신을 선도하는 성장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그는 성공 전략으로 △규제프리존 메가샌드박스 △완전자율주행 실증 인프라 구축 △호남권 모빌리티 산업 확대 △RE100 산단 조성 △광주연구개발특구~광주송정역~빛그린·미래차 국가산단~영광을 잇는 신산업선 신설 등을 제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국토부와 산업부, 자동차·모빌리티 관련 연구기관 관계자들은 광주의 AI 인프라와 자동차산업 기반을 높이 평가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 의지를 밝혔다.
김홍목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국가AI데이터센터와 도시 단위 실증 여건을 갖춘 광주는 자율주행AI 삼각클러스터의 중심이 될 수 있다"며 "모빌리티 대전환(MX)을 위해 정부도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동일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산업정책관도 "광주는 완성차 공장과 소부장 기업, AI 인프라를 모두 갖춘 생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도시"라며 "지역별 특화 발전을 위한 전략적 분업을 고려할 때 광주는 핵심 거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정과제 반영, 2030년 준공 목표
이재명 정부는 지난 16일 국무회의에서 123대 국정과제를 의결하며, 광주 공약을 반영한 국토부와 산업부의 이행계획을 확정했다.국토부는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를, 산업부는 '피지컬 AI 기반 미래차 산업 혁신클러스터'를 각각 담았다.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는 첨단 교통체계와 AI 기반 도시통합 관리시스템을 갖춘 신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2026년 기본구상 용역, 2027년 예비타당성 조사, 2028년 착공,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피지컬 AI 기반 미래차 산업 혁신클러스터는 지역 부품기업의 미래차 부품 개발·실증·인증을 지원하고 기업과 연구기관을 집적화해 첨단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 역시 2030년 완료를 목표로 추진된다.
최치국 광주연구원장은 "이번 토론회는 광주가 준비해온 'AI 모빌리티 신도시' 구상을 정치권과 중앙부처가 함께 구체화한 자리였다"며 "국정과제와 맞물려 실행력을 확보한 것이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