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금리 인하에…정부 "국내 영향은 제한적"

정부,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거시경제·금융시장 안정 '만전'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우리나라 경제 정책 수장들이 미국 Fed(연방준비제도·연준)가 정책금리를 인하한 데 대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오전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영상 참석), 이억원 금융위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등과 함께 관계기관 합동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금리인하 결정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및 국내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앞서 미 연준은 FOMC를 열어 지난해 12월 이후 9개월 만에 정책금리를 금리 상단 4.5%에서 4.25%로 25bp 낮추고, 향후 금리 전망도 하향 조정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미 연준이 시장의 예상대로 정책금리를 인하하고 앞으로도 금리 인하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했다.

또 향후 미국과의 관세협상 진행상황, 가계부채 및 부동산시장 동향,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춰 기관 간 수시로 긴밀히 소통하며 거시경제·금융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구 부총리는 모두발언에서 "경제전망에 있어서는 물가 전망은 높인 반면, 성장과 고용은 이전보다 개선된 전망을 제시했다"면서 "연준 위원들의 의견이 넓은 범위에 분산되어 있는 등 경제와 금리 경로 상의 불확실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고용의 하방 위험이 높아진 가운데 관세가 물가에 미칠 영향도 예의주시해야 한다"며 "물가와 고용이라는 연준의 양대 목표 모두 위험요인이 있는 도전적인 상황"이라고 발언한 점도 지적했다.

또 구 부총리는 국제 금융시장이 이날 회의 결과에 "대체로 시장이 예상한 수준의 금리 인하로 평가하면서도 향후 불확실성에 대한 파월 의장의 인식에 주목하며 혼조세를 띄는 양상을 보였다"고 짚었다.

국내 금융시장에 대해서는 "안정적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며 "코스피지수는 9월 들어 외국인 순매수 등으로 최고치 경신이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원·달러 환율은 주식시장 외국인투자 증가 영향 등으로 다소 하락했다"며 "회사채 발행 등 자금조달 여건도 원활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 관세정책과 경제지표 등 글로벌 불확실성 요인이 상존해 있다"며 "정부는 주요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