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관세협상, 美요구 수용했으면 탄핵 당했을 것"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42회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18일 공개된 미국 타임(Time)지 인터뷰에서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미국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였다면 탄핵 당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3일 취임 100일을 계기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그래서 미국 협상팀에 합리적인 대안을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미국 측이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이 조성하기로 한 3500억 달러 투자 펀드에 대해 과도한 요구를 했고, 이 대통령은 거절했다는 뜻이다.

이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해 "사업가로서 성공적인 삶을 살았고, 겉으로는 예측 불가능해 보여도 매우 성과 지향적이고 현실적인 사람이라고 믿는다"며 "패배자로 남는 결론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비합리적 선택을 하지 않으며, 덕분에 예상보다 잘 소통할 수 있었다"고 평했다.

타임은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이 전략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심을 무역 문제에서 북한 문제로 돌렸다고 분석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북한 문제에 대해 실질적인 진전이 있다면, 그 상을 받을 만한 다른 인물은 없다"고 답했다.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북한에 그냥 멈추라고 한다고 멈추겠느냐"며 "현재 수준의 압박을 계속 가하면 북한은 오히려 더 많은 폭탄을 만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 사례를 언급하며 "대북 제재를 부분적으로 완화하거나 해제하는 조건으로, 핵 동결-축소-비핵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도 같은 생각일 것이라 믿는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국제사회에서 미국과 함께 서겠지만 중국과의 관계도 소홀히 할 수 없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타임은 이 대통령이 미·중 사이 '다리'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고 썼다.

이 대통령은 "우리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가치는 한미동맹에 기반하고 있다"면서도 "중국과의 지리적 근접성, 역사적 관계, 경제적 연계, 그리고 인적 교류를 고려할 때 중국과의 관계를 완전히 단절할 수는 없다"고 했다.

이어 "우리는 새로운 세계 질서와 미국을 중심으로 한 공급망에서 미국과 함께 할 것이지만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한중관계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렇지 않으면 "한국이 두 진영 간 대립의 최전선에 서게 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인터뷰 당일 중국 전승절 행사가 진행됐던 점에 대해서는 "중국 측이 내가 참석하기를 원했던 것 같지만 더 묻지는 않았다"고 웃으며 답했다.

국내 갈등 및 사회 통합과 관련해선 "지금 한국 정치에서 대립과 분열은 일상화돼 숨 쉬는 것조차 일부에서 비난 받는 상황"이라며 "이러한 문화를 바꾸는 게 내 의무이자 책임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논란이 됐던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윤미향 전 의원 사면에 대해 "모든 일에는 양면이 있다"며 "여론이 분열될 것을 알았지만 필요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