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은 대전 기술연구원 분석연구소에 로봇 자동화 실험실을 구축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소는 양극재 원료인 리튬·니켈·코발트·망간 등을 정밀 분석해 차세대 배터리 소재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로봇 자동화를 통해 사람이 직접 수행하던 고온·고농도 산 처리 등 위험하고 반복적인 분석 과정을 자동화해 안전과 분석 효율을 향상했다고 LG화학은 설명했다.
담당자가 분석 시료를 보관함에 넣으면 로봇이 출고부터 시료 전처리, 분석, 시료 폐기까지 수행하고, 분석 데이터는 시스템으로 자동 입력돼 고객 요청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고 LG화학은 부연했다.
실험에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건 국내 화학 업계 최초라고 LG화학은 강조했다.
기존에는 연구원들이 근무 시간에 맞춰 실험 준비와 진행에 직접 투입됐지만, 로봇 자동화를 통해 24시간 365일 실험이 가능한 연구 환경이 조성됐다.
LG화학은 추후 마곡R&D캠퍼스에도 분석 자동화 실험실을 구축하고, 중장기적으로는 AI(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을 연계한 AX(AI 전환) 융합 자동화 실험실을 마련해 연구 효율성과 안전 수준을 높여갈 예정이다.
이종구 LG화학 CTO(최고기술책임자·부사장)는 "분석 자동화는 단순 업무 효율화를 넘어 연구원들이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연구 개발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과정"이라며 "차세대 소재 경쟁력을 선도하고 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