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불확실성 장기화…재계 "전략 산업 관세 완화 필요"

대한상의,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초청 국제통상위원회 개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EC룸에서 열린 '국제통상위원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한 후 한미 관세협상 이후의 혼란 속에서 정부의 협상 과정과 향후 통상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기업과 정부 간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 등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한미 관세협상 이후 불확실성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기업들이 정부에 전략 산업 관세 면제와 비자 제도 개선 등을 요청했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22일 상의회관에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초청해 '대한상의 국제통상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국제통상위원장인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대표이사와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을 비롯해 김동욱 삼성전자 부사장과 염성진 SK수펙스추구협의회 부사장, 김동욱 현대자동차 부사장, 하태석 LG 전무, 신성주 롯데 상무, 김선 한화 부사장, 최누리 GS 부사장, 류근찬 HD현대 부사장, 엄재동 대한항공 부사장, 조영석 CJ 부사장, 김성태 두산경영연구원장 등 주요 기업 대표와 임원이 참석했다.

이계인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미국의 잇따른 관세 조치와 통상 정책으로 긴장이 지속됐지만 지난 한미 관세 협상과 정상회담을 통해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된 것은 정부의 신속한 대응과 치열한 협상의 결실"이라며 "하지만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비자 문제처럼 예기치 못한 상황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어 기업들은 긴장을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통상 불확실성 속에서 전략 산업에 대한 관세 부담 완화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특히 "조선, 원전 등 미국 내 공급망이 완전히 갖춰지지 않은 전략 산업은 그 공백을 국내 공급망이 보완해야 한다"며 "해당 산업에 대한 관세 유예나 면제가 시급하다"고 호소했다.

아울러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까지 확대될 경우 가격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주요 품목의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청했다.

대미 투자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인력·비자 문제 해결이 절실하단 목소리도 나왔다.

김종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무역통상안보실장은 "미국의 일방주의적 통상 정책은 제조업 쇠퇴와 중산층 소득 정체 등 미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반영하는 만큼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 같은 불확실성은 세계 무역 위축과 환율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어 기업들은 단기 대응을 넘어 공급망 다변화와 생산성 제고 등 장기 전략을 마련해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윤철민 대한상의 국제통상본부장은 "대한상의는 기업의 목소리를 적극 전달하고 정부와의 가교 역할을 통해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오는 25일 '미국진출 한국기업 HR 현지화 가이드 세미나'를 비롯해 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