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정 과제로 채택한 '북극항로 개척'의 경제성을 알아보기 위한 용역을 진행하는 등 전략 수립이 본격화한다.
해양수산부는 최근 '북극항로 개방 대비 상업 운항을 위한 경제성 분석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북극항로를 개척하고 실제 상업 운항에 들어갈 경우 미칠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고 개척 전략을 수립하는 차원에서 진행된다.
용역 기관은 북극권 8개 나라의 경제·산업 구조 분석과 국가별 투자 동향·수효 파악, 기반시설 비교 등의 작업을 진행한다.
운항 여건을 분석하고 국제 규제를 점검하는 한편 글로벌 선사 운항 사례와 전략 파악 등도 수행한다.
또 항로별 운항 거리를 산정해 기존 항로와 비교한 장단점을 분석하는 등 경제성 분석에 집중한다.
용역은 내년 3월 31일까지 진행된다.
해수부는 용역 최종 보고서를 바탕으로 필요 재원을 파악하는 등 구체적인 항로 개척 전략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기상 상황 등 여러 변수가 많은 만큼 항로를 이용할 선사들에게 필요한 대비책을 알아보고 지원 방안 등을 세울 계획이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북극항로의 경제성에 관해 간헐적인 연구는 있지만 제대로 된 비용을 분석한 결과는 아직 없다. 북극항로의 여건과 기존 항로를 비교해 어느 정도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지를 면밀하게 확인하기 위한 용역"이라며 "여러 변수와 노선 운영이 필요한 비용 등을 분석해 선사들에게 공유하고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