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이 챗GPT와 자체 AI '카나나'를 품고 본격적인 AI 대변신에 나섰다.
23일 카카오는 오는 25일까지 경기도 용인시 카카오AI캠퍼스에서 '이프 카카오(if(kakao)25)' 컨퍼런스를 열고 카카오톡의 대규모 변화와 AI 서비스 라인업을 공개했다.
'가능성, 일상이 되다'라는 슬로건 아래 열린 이번 행사에서 정신아 대표는 키노트를 직접 진행하며 카카오톡의 진화 방향과 AI 전략을 밝혔다.
정신아 대표는 "AI 시대의 도래로 우리의 일상도, 대화 방식도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며 "이번 개편은 이용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시대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려는 카카오의 전략을 담았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목적형 메신저에서 탐색형 서비스로 진화하는 카카오톡의 방향성을 소개하며, '톡 하듯' 쉽고 편리하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신규 서비스들을 선보였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카카오톡 안에서 곧바로 챗GPT를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카카오와 OpenAI가 공동 개발한 이번 프로덕트는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채팅탭 상단의 'ChatGPT'를 눌러 바로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는 대화 중 자연스럽게 챗GPT로 전환해 텍스트·이미지 기반의 답변을 받고, 생성된 콘텐츠를 대화방에 공유할 수 있다. 챗GPT는 OpenAI의 최신 모델 GPT-5로, 텍스트와 이미지 처리 및 고도화된 컨텍스트 인지 능력을 갖췄다.
카카오맵, 선물하기, 멜론 등 카카오 서비스와 연결되는 '카카오 에이전트'를 통해 메뉴 이동 없이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카카오는 또 자체 AI 서비스 '카나나(Kanana)'를 카카오톡에 접목해 이용자 맞춤형 기능을 강화했다. 대화요약, 통화녹음, 숏폼 생성 등 기능과 '카나나 검색', 보안성을 높인 온디바이스(On-Device) 기반 AI 서비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을 순차 공개한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대화 맥락을 파악해 일정관리·예약·검색 등을 먼저 제안하는 '선톡' 기능을 지원하며, 온디바이스 AI 모델 '카나나 나노(Kanana Nano)'를 활용해 개인정보 보호와 처리 속도를 동시에 잡았다.
카카오톡 자체 기능도 크게 개선된다. 홍민택 카카오 CPO는 "이용자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불편을 해소하고 대화·관계·일상을 쾌적하게 만들고자 했다"고 밝혔다.
'채팅방 폴더' 기능으로 카테고리별 대화방을 분류할 수 있고, 메시지 수정 기능과 '안읽음' 폴더, AI 요약 기능도 추가된다. 보이스톡에는 통화 녹음·텍스트 변환·AI 요약·검색 기능이 탑재돼 이용자 편의가 높아진다.
또 카카오톡 세 번째 탭은 '지금탭'으로 바뀌어 숏폼과 오픈채팅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숏폼 영상은 친구와 채팅방에서 함께 시청·공유할 수 있고, '오픈채팅 커뮤니티'와 '댓글' 기능으로 화제의 대화를 놓치지 않고 이어갈 수 있다.
친구탭은 프로필·게시물·디데이 등을 타임라인형 피드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개편됐으며, 프로필 공개 범위·댓글 허용 여부 등 프라이버시 보호 장치도 강화했다.
카카오는 AI 서비스 생태계 확대를 위해 'PlayMCP' 플랫폼과 'PlayTools'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해 외부 파트너와 함께 에이전트 기반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올리버 제이 OpenAI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총괄은 "카카오와 협력해 ChatGPT를 새롭고 현지화된 방식으로 제공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카카오 생태계와 결합해 AI가 일상에서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지훈 AI디스커버리 성과리더는 "온디바이스 AI를 통해 'Privacy First' 원칙 아래 더 안전하고 빠르게 AI 기능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김병학 카나나 성과리더는 "앞으로 Agentic AI 연구를 통해 카카오톡과 다양한 카카오 서비스에서 카나나 모델을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v25.8.0)는 이날 오후부터 순차 적용되며, AI 기반의 새로운 카카오톡 경험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