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 사용후핵연료 발생 저감 기술개발 성과공유회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수행 중인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용후핵연료 발생량저감 핵연료 기반기술 개발사업 성과공유회'를 24일 대전 호텔ICC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연에 따르면 이 사업은 2028년까지 SMR의 친환경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사용후핵연료 발생량을 30% 이상 저감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가동원전에서 사용하는 핵연료보다 농축도가 약간 높은 저농축우라늄플러스(LEU+) 핵연료와 이에 최적화한 노심(Core)을 사용해 핵연료의 연소도를 높이고 연소 기간을 늘려 경제성과 효율성을 높이며, 동시에 사고저항성핵연료(ATF) 적용으로 안전성도 함께 확보하는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1단계 사업에서는 SMR 핵연료 소재·부품 제조 기술과 성능 및 노심 해석 기술을 개발해 LEU+ 핵연료 실물화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고연소도 SMR 핵연료의 해석 코드 체계를 수립하는데 성공했다.
 
SMR 사용후핵연료 발생 저감을 위한 핵연료·노심 기술 개발 성과는 국내 고유 기술로 개발 중인 혁신형 SMR 기술과도 연계될 수 있다. SMR의 실용화를 앞당기고 글로벌 기술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서울대학교, ㈜미래와도전이 공동 주관한 이번 성과공유회는 산·학·연 및 규제기관의 핵연료·노심 전문가 140여 명이 참석해 기술적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연구원 김동주 경수로핵연료기술연구부장은 "이번 성과공유회는 SMR의 사용후핵연료 발생량 저감 현안 해결을 위한 기술적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협의하기 위한 자리"라며 "향후 SMR의 성공적인 실용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 전념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