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농식품 기업 최초로 식량원조 통해 UN 조달시장 진출

국내 기업 ㈜젤텍, UN세계식량계획 영양강화립 공급자로 선정
농식품부 "K-ODA 연계한 K-푸드 수출 활성화 성공 모델 될 것"

영양강화쌀로 만든 밥을 먹는 어린이들. UN 세계식량계획(WFP) Hilary Clarlec 제공

국내 농식품 기업이 처음으로 국제기구 조달시장에 진출하면서 우리 정부의 식량원조사업이 국내기업의 수출길을 여는 내실화된 공적개발원조(ODA) 모델로 발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9월 4일 국내 기업 ㈜젤텍이 UN 세계식량계획(WFP)으로부터 영양강화립(Fortified Rice Kernel, FRK) 공급자로 선정돼 대한민국 최초로 27.5억 불 규모의 UN 식품조달시장에 진출했다.
 
영양강화립은 쌀가루에 비타민·무기질 프리믹스를 첨가해 쌀알 모양으로 반죽·압출·성형한 인조미로, 쌀의 맛과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영양가를 높여 영양실조 예방에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국산 영양강화립 201t은 다음 주에 방글라데시로 출항하는 원조쌀 2만여t과 함께 현지 난민·취약계층의 영양 개선에 활용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이번 출항을 계기로 역대 최대 규모인 15만t의 식량원조와 영양강화립 첫 지원을 기념하는 행사도 UN 세계식량계획과 함께 개최할 계획이다.
 
UN은 지난해 12월에 발표된 '아시아·태평양지역 식품강화전략 2024-2029'에서 미량영양소 결핍에 직면한 전 세계 가임기 여성, 발육부진과 저체중에 처한 아동 19억 명 등의 현황과 함께 필수영양소 섭취를 위한 영양강화식품 필요성을 강조했고 UN 세계식량계획은 15개국과 협력해 2026년까지 8억 5천만 명 이상에게 영양강화쌀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영양강화식품 시장 규모는 2022년 880억 달러(한화 약 123조 원)에서 2032년에는 2220억 달러(한화 약 310조 원)로 약 2.5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엔 세계식량계획은 이 중 영양강화쌀 시장 규모를 2030년까지 169억 달러(한화 약 233조)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UN 산하 국제기구인 세계식량기구와의 공고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WFP가 공동사업자인 농식품부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적극 활용해 보다 많은 국내기업이 영양강화쌀 조달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UN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통해 더 많은 국내 식품기업들이 UN 조달시장에 진출한다면 K-ODA 연계 K-푸드 수출 활성화의 성공 모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