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주민 정신건강도 챙긴다…농촌 왕진버스 상담서비스 실시

농식품부, 왕진버스에 비대면 정신건강 상담서비스 시범 도입
2026년부터 전국 지자체에서 신청 가능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최근 높아지는 정신건강 관리 중요성에 따라 농촌 왕진버스에 '비대면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도입한다고 밝혔다.
 
농촌 왕진버스는 의료기관에 찾아가기 어려운 농촌 주민들에게 다양한 진료서비스를 한 번에 지원하는데 지난 2024년 양·한방, 검안 및 구강검진 서비스로 운영을 시작해 도입 첫 해 9만여 명의 주민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했다. 올해에는 진료 내용에 거동이 불편한 주민을 위한 재택진료와 농업인이 특히 취약한 근골격계 질환 진료를 추가해 지난 8월 기준으로 이미 약 13만 명의 주민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번 비대면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는 농식품부가 새 정부 들어 추진 중인 '모두의 행복 농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시범 도입됐다. 농식품부는 고령자 1인 가구 비율이 증가하는 농촌에 정신건강 관리가 중요하다는 현장 의견을 수렴해 왕진버스와 결합한 비대면 방식의 상담서비스를 추가했다.

고령 1인 가구 비율(2024년 기준)은 서울 8.6%, 경기 7.9%인데 반해 전남 16.1%, 경북 14.3%로 농촌지역이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 시범 운영은 오는 9월 26일 경기 양평에서 진행되며 2차 시범 운영은 4분기 중 시범지역을 추가 선정해 추진할 예정이다.

2026년부터는 전국 지자체에서 왕진버스 사업 신청 시 함께 신청할 수 있다. 왕진버스 현장에서 전문 상담사가 문진 및 우울·불안·인지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결과 위험군으로 판단된 주민에게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비대면 상담 서비스를 지원한다. 상담은 주민이 원하는 일정에 맞춰 진행되며 스마트 기기 사용이 어려운 주민은 전화 상담도 가능하다.

심층 상담 결과 지속 관리가 필요한 주민은 지역 의료 기관 진료나 보건소를 통한 정신건강 지원 사업과 연계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이번 비대면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 도입을 통해 주민의 정신건강 관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의 종합적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