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거진 사제 총기·경기용 실탄의 시중 유통 폭로 건과 관련해 대한체육회가 자신들과 무관한 사건이라는 취지의 공식 입장을 내놨다.
체육회는 특히 총기·실탄의 관리 부실 지적에 대해 "총기·실탄 등 총포류 소관 기관은 경찰청"이라고 못 박는 등 정면 반박했다. 총기·실탄에 대한 관리 책임이 체육회에 있지 않음을 분명히 한 셈이다.
앞서 지난 22일 사격 국가대표 출신인 진종오 의원(국민의힘)은 기자회견을 통해 시중에 사제 총 100여 정과 경기용 실탄 2만 발 이상이 유통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정부에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한 바 있다.
진 의원은 특히 체육회가 대한사격연맹에 대한 관리·감독권을 가지고 있다면서 총기·실탄 유통과 관련한 경찰 조사결과에 대해 어디까지 파악하고 있는지 따져 물었다. 그는 또 체육회가 체계적 관리 시스템만 도입했더라도 (실탄 유출 등의) 중차대한 일들을 사전에 막았을 것이라며 이에 대한 책임을 추궁했다. 이어 정부에 체육회와 사격연맹에 대한 전방위 조사를 요구했다.
현재 관련 수사를 진행 중인 경찰은 전 사격 국가대표 감독의 연루 여부에 대해 확인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 실업팀 등에서 발생한 사안·체육회는 수사대상 아냐"
진 의원의 이 같은 문제 제기에 대해 체육회는 반박성 입장을 내놨다. 24~25일 이뤄진 CBS노컷뉴스의 관련 취재에 체육회 고위 간부는 구두 및 설명 문건을 통해 체육회의 입장을 상세히 밝혔다. 이 간부는 "(밝힌 내용 일체는 소관 부서들과 논의를 거친) 체육회의 공식 입장"이라고 전제했다.
체육회는 우선 총기·실탄 유출(유통)건에 대해 경찰이 조사하고 있다는 내용을 사전에 알지 못했으며 진 의원의 기자회견과 언론 보도를 통해 처음 접했다고 밝혔다. 또 수사 중인 사안이기에 (현재도) 구체적 내용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총기·실탄의 시중 유통과 관련해 체육회에 대한 정부 및 경찰 조사는 없었다고 전했다.
체육회는 총기·실탄 유출은 현장 실업팀 등에서 발생한 사안으로 판단하고 있다. 체육회 고위 간부는 "실업팀 등 개별 현장에서 (총기·실탄이) 관리되는 부분은 체육회와 사격연맹이 확인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개별 실업팀에서 사용하는 총알 개수를 (체육회나 사격연맹이) 카운트하고 있지 않다. 실업팀, 지자체 관리 팀에 대한 실탄은 경찰서에서 관리해야 한다"며 "체육회, 사격연맹은 수사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체육회가 직접 관리하는 국가대표선수촌과는 무관한 사건"
이 간부는 특히 체육회의 (총기·실탄의) 관리 시스템 부실 지적에 대해서는 "현재 국내 총포류에 대한 실시간 현황 파악 및 현장 점검 등 전반적인 관리는 경찰청 소관"이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이어 "다만 국가대표선수촌에서 사용하는 총기·실탄의 경우 경찰에 신고하고 실탄을 받아 체육회에서 관리한다. 철저한 관리를 통해 총기 관리와 관련한 문제가 발생한 사례는 없었다"고 부연했다.
또 "체육회는 총기·실탄 유출 내용을 접한 즉시 국가대표선수촌에 확인했다"며 "확인 결과 이번 사건은 체육회, 사격연맹이 직접 관리하는 국가대표선수촌과는 무관한 사건"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체육회는 마지막으로 "(이번 사건과 관련해) 경찰 등 관계기관에 협조할 내용이 있다면 적극 협조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총기·실탄 유통 사안이 불거진 직후 체육회는 소관 부서를 정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대표선수촌 훈련본부(훈련기획부), 체육진흥본부(종목육성부), 기획조정본부(전략기획부) 등 관련 부서들이 이른바 '폭탄 돌리기'를 하듯 사안을 회피하다, 결국 종목육성부가 이 사건의 소관 부서로 배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