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 설립된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가 예산 부족으로 일부 치유 프로그램 운영을 중단했다. 출범 1년여 만에 발생한 사태로, 정부와 광주시 간 운영비 분담 갈등이 본질적 원인으로 지적된다.
26일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와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8월부터 합창단, 글쓰기, 사진, 원예, 요리 등 집단 재활치유 프로그램 일부가 중단됐다. 상반기에는 정상적으로 운영됐으나 하반기 예산이 확보되지 않으면서 운영을 이어갈 수 없게 된 것이다. 현재는 개별 상담과 찾아가는 서비스 등 일부 프로그램만 유지되고 있다.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는 2024년 7월 옛 국군통합병원 부지에 107억 원의 국비가 투입돼 개관했다. 5·18민주화운동, 제주4·3사건, 여수·순천 10·19사건 등 국가폭력 피해자와 가족의 치유를 목적으로 설립된 국가기관이다.
올해 운영비는 총 22억 원이 필요했지만 정부가 11억 원만 확보하면서, 나머지는 광주시가 부담해야 했다. 그러나 광주시는 설립 취지상 운영비 전액을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 예산 공백이 생겼다. 반면 정부는 광주시도 절반을 부담해야 한다는 태도를 보여 대립이 이어졌다.
지역사회 안팎에서는 국가가 책임져야 할 사안인 만큼 센터 운영 비용을 전액 국가가 부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광주시는 중단된 프로그램 정상화를 위해 다음 달 추경에서 관련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 관계자는 "예산이 없어 일부 프로그램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며 "내년부터는 관련 법 개정으로 국가 부담이 늘어나 정상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