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8일 청년, 고령자, 양육가구 등 특정 수요자에 맞춘 임대주택 공급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주택 사업자를 대상으로 특화주택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특화주택은 거주 공간과 함께 사회복지시설, 돌봄 공간, 공유오피스 등 다양한 지원 시설과 심리상담 등 서비스까지 공공주택 사업자가 지자체 등과 협력해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화주택 공모는 오는 29일부터 11월 28일까지 두 달간 진행된다. 이후 제안서 검토, 제안사업 현장조사(국토부·LH), 제안발표 및 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중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공모사업 유형은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고령자 복지주택 △청년특화주택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등 4가지다.
공모에 선정된 사업은 국가가 지원하는 주택도시기금 출·융자 등을 통해 지역 여건에 맞는 특화주택을 적재적소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내년도 예산안에 청년특화주택 내 특화시설, 육아친화 플랫폼에 대한 건설비가 신규로 포함돼 앞으로 특화주택에 대한 지원이 확대될 전망이다.
국토부 이기봉 주거복지정책관은 "특화주택을 통해 각 지역이 해당 지역의 수요와 실정에 맞는 주택을 공급할 수 있고, 추가적인 재정지원을 통해 건설 비용 부담 완화가 가능한 만큼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주택 사업자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와 협조를 당부드린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