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28일 중증 보행 장애인을 위해 특별교통수단(장애인 콜택시) 통합예약시스템을 개발하고 대전·세종·충북에서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현재 중증 보행 장애인이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려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이동지원센터에 회원가입한 후 센터를 통해 호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차량 이용 희망 지역의 이동지원센터마다 회원가입과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새로운 지역에서 차량을 이용하려면 매번 회원가입과 승인 절차를 거쳐야하고, 이동지원센터별 유선 번호가 달라 이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국토부는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한 번의 가입으로 전국 어디서나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통합예약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국토부는 구축한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해 운영하기 위해 대전·세종·충북 지역에서 우선적으로 통합예약 시범 사업을 개시한다.
특별교통수단 통합예약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교통약자 이동편의 정보관리시스템 누리집이나 모바일을 통해 통합회원가입을 신청한 후 승인을 받으면 지자체별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대전시, 세종시, 충북 11개 시·군에 거주 중인 중증 보행장애인 4만 8천여 명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거주 중증 보행장애인도 시범 사업 지역의 차량 이용을 위해 통합예약시스템에 회원가입을 할 수 있다.
국토부 엄정희 교통물류실장은 "이번 시범 사업을 계기로 특별교통수단 이용 과정에서의 불편함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시범 사업에서 발견된 문제점은 즉각 개선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통합예약시스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