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본원 전산실 화재와 관련해 충청권 지방자치단체와 정부대전청사가 비상대책본부를 가동했다.
대전시는 28일 국정자원 화재 대응 상황실을 설치했으며, 화재 원인으로 거론된 리튬배터리 사용 시설 점검과 대안책 마련에도 착수했다.
세종시도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에 나섰다. 이날 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업무 시스템 장애 대응 계획을 점검했다.
시의 점검 결과 이날 오후 4시 기준 중앙 부처 구축 시스템 151개 가운데 67개는 정상 작동 중이지만, 46개가 접속 불가, 38개는 기능 이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 자체 운영 시스템 89개 중에서는 82개가 정상 작동 중지만, 정부 시스템과 연계된 7개 서비스가 기능 이상을 보이고 있다.
시는 이번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은 주로 모바일 신분증과 GPKI인증서, 도로명주소 등 인증 시스템과 행정 정보 공동 이용 시스템 등이라며, 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정부24, 무인민원발급기 등 각종 제증명발급, 온라인 민원처리업무가 중단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시는 서면 접수나 대체 사이트를 활용해 서비스 공백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충남도도 이날 재난안전상황실에서 긴급 대처 상황 회의를 열어 정보 시스템 점검 등을 하고 있다.
도는 도가 운영 중인 79개 정보 시스템 전체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각 시스템은 모두 정상 작동하고 있지만, 공직자 통합 메일 등 중앙 연동 시스템 일부에서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말했다.
도 본청 4층 통합관제센터 내 정전 대비용 보조 전원인 배터리와 자동소화장치를 점검해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도청 통합관제센터는 현재 '납축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도는 국민 신문고와 정부24 등 전자민원 접수가 불가능한 시스템은 관련 부서를 통해 서면 접수를 안내하고 있다.
시·도교육청들도 나이스와 K-에듀파인 시스템 장애에 따라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대전교육청은 국정 자원 화재와 관련해 행정안전부 연계 시스템에 접속이 불가능해 업무에 참고하라는 내용의 안내 문자를 발송했으며, 세종교육청과 충남교육청도 대체 시스템 안내 창구 일원화 등을 마련하고 있다.
정부대전청사에 입주한 기관들도 비상 대응에 돌입했다.
특허청이 긴급 점검과 함께 비상 대응반을 운영하고 있다. 특허청은 다른 기관의 시스템 장애로 전자 출원 시스템 등 일부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특허청은 특허 등을 출원할 때 대전 본청과 서울 사무소에 직접 제출할 수 있도록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조달청과 병무청, 국가유산청 등도 비상근무체제를 가동했다.
충청권 시·도와 정부기관들이 대응책에 마련에 분주하지만, 행정업무가 시작되는 29일부터 민원 대란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