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불이 발생한 지 6개월이 지났지만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 4천여명이 임시 주거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가운데, 경상북도가 추석을 맞아 특별 지원에 나선다.
29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 산불 특별법(경북‧경남‧울산 초대형산불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환영하며 특별법의 주요 내용과 현재 피해 복구 상황, 후속 조치 계획 등에 대해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경북도는 명절 선물 지급, 임시 주택 안전 점검, 심리 상담 등 추석 맞이 이재민 특별 지원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경북도는 최악의 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역을 회복하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복구 지원비 1조 8310억원을 확보했고 지금까지 생계비, 주거지원비로 4213억원을 지급했다. 총 2525동의 임시주택을 제공했다.
국민들이 모은 성금 744억원은 유가족 위로금, 현장 지원, 임시주택 건립 등에 투입됐다.
산불 후 지반이 약화된 산사태 위험 지역 283개소는 응급 복구가 완료됐다.
이르면 올해 말, 마을 전체가 불탄 24개 마을에 대해서는 마을주택 재창조 사업이 착공할 계획이다.
한편 경북도는 이번에 국회를 통과한 산불특별법 내용 중 각종 규제 완화와 중앙정부의 권한 위임, 민간 투자 유치를 통한 신속한 산불 피해를 꾀하는 산림투자선도지구 지정, 산림을 보존하되 고수익 수종을 식재하는 등 소득 성장 모델로서 활용하는 산림경영특구 지정 세 가지는 경북도가 기획하고 제안한 제도라고 치켜세웠다.
실제로 경북도는 '바라보는 산에서 돈이 되는 산으로'를 모토로 안동 산림휴양복합단지 조성, 의성 대단위 스마트과원 조성, 청송 산림미래혁신센터 유치, 영덕 송이 생물자원 스마트밸리 조성 등 38개의 전략 사업안을 준비 중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특별법의 통과로 제도적 기반이 갖추어진 만큼, 피해 주민들이 빨리 일상과 안정을 되찾고 피해지역이 전화위복위 혁신적 재창조 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