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전산실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경찰이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대전경찰청은 불이 난 국정자원 5층 7-1 전산실 내부 폐쇄회로(CC)TV 영상을 다수 확보하고, 당시 현장에서 작업하던 직원 7명을 불러 조사했다고 29일 밝혔다.
김용일 대전경찰청 형사과장은 기자들과 만나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배터리 6개를 확보했다"며 "(소화)수조에서 안정화 작업을 진행한 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정을 의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경찰이 확보한 CCTV 중 발화지점을 정면으로 비추는 CCTV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현재까지 부상을 입은 작업자에 대한 조사도 이뤄지지 않아 사고 당시 경위를 파악하는 데 조금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지난 주말 화재 현장에서 작업하던 작업자 7명을 불러 진술 조사를 진행했다. 이 중 국정자원 소속은 없던 것으로 확인됐다.
김용일 과장은 "국정자원 화재와 관련된 업체가 다수고, 업무 관계가 일반적인 하도급 계약과 달리 복잡해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경찰은 특히 화재 현장에서 발견된 공구 등을 수거해 국과수에 감식을 의뢰했다. 배터리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전동드릴이 사용된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현장에서는 전동 드릴도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전원 차단 40분 후 불꽃이 튀었다"는 작업자 진술도 확보했지만, 사실 관계는 더 따져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화재가 배터리 자체에서 시작된 건지, 외부나 전선에서 시작돼 배터리로 옮겨붙은 건지도 감정이 필요한 부분이라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경찰은 특히 화재 위험이 있는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과정에서 불이 난 만큼, 작업 과정에서 국정자원과 관련 업체들이 안전 메뉴얼을 제대로 지켰는지 여부도 들여다 볼 예정이다.
김 과장은 "(메뉴얼 관련 자료는) 일부 자료는 임의 제출 방식으로 확보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해 산업안전보건법 (위배되는지) 법리 검토중이다. 추가적인 준수 메뉴얼을 확보하고 거부한다면 확보 방법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찰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소방당국과 함께 3차 합동감식을 진행했다.
최주원 신임 청장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투입해 화재 원인과 경위를 철저히 규명하겠다"며 "국민들이 수긍할 수 있는 결과를 내고, 같은 일이 두 번 다시 발생하지 않는 게 중요한만큼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