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소포 거절에 발 돌려…국정자원 화재 사흘째 혼란 여전

명절 앞두고 신선식품 못 보낸 시민들 허탈
정부 기관 등 홈페이지 가입 막혀 불편
주민센터·무인발급기기 등 일부 기능 복구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우편 서비스 차질이 생긴 가운데 29일 오전 부산 시내 한 우체국에 소포우편물 창구접수 불가를 알리는 안내문이 나붙어 있다. 연합뉴스

대전 국정정보자원관리(국정자원) 화재 이후 맞이한 첫 업무일인 29일 우체국 곳곳과 구청,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등에는 난처한 표정으로 방문한 시민들 발길이 이어졌다.

서울 성북구의 한 우체국 곳곳에는 '필수 우체국 서비스가 정상화됐다'는 안내문이 붙었다. 하지만 신선식품 등 일부 품목은 접수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였다. 이런 사실을 미리 알지 못하고 추석 명절 선물을 보내기 위해 우체국에 들렀다가 택배를 못 보내고 돌아서는 시민이 적지 않았다. 우편물 무인 접수 기기는 여전히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다른 일반 소포를 부치기 위해 우체국을 찾았다는 이모(48)씨는 "지난 금요일 친척에게 건어물 택배를 보냈는데 배달 완료 메시지가 없어서 주말내 걱정했다"라며 "방금 잘 받았다는 연락을 받아 다행"이라고 말했다.

서울 성북구청 여권민원실도 여권 발급 등을 위해 찾은 시민들로 북적였다. 민원실 앞에는 '여권 발급이 정상 처리 중이지만 온라인 신청불가로 방문 민원이 증가해 업무 처리시간이 지체될 수 있다'는 문구가 붙어 있었다.

서울시내 지하철역 무인민원발급기. 황진환 기자

무인민원발급기와 정부24 홈페이지가 일부 복구돼 주민센터 혼란은 예상보다 크지는 않았다. 실제 이날 오전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기기는 정상 작동 중이었다.

전입신고나 확정일자 신청, 임대차 계약신고 등 주요 부동산 관련 민원은 여전히 멈춘 상태다. 확정일자를 제때 발급받지 못하면 임차인이 피해를 입을 수 있어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대출 심사 등 일정이 미뤄질 경우 피해가 커진다. 공인중개사협회는 "확정일자 발급은 임차인 대항력과 관계가 있어 임차인이 직접 주민센터를 방문해도록 안내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회원 공지를 했다.

온라인 주소 조회 페이지가 막히면서 불편을 겪은 경우도 있었다. 서울 마포구에 사는 황채영(30)씨는 "구립 전자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려는데 도로명 주소 찾기가 전상망 마비로 안 돼 답답했다"라고 한숨을 쉬었다.

20대 박모씨는 "평소 지갑 없이 스마트폰만 들고 다니는데 토요일 새벽 술집에 갔다가 모바일신분증이 막혀 입장을 못했다"라며 "정부가 공인한 서비스라는 것을 고려해서 믿었는데 당혹스러웠다"고 말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국정자원 화재로 멈췄던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중 정부24, 우체국 금융, 모바일 신분증,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등 55개가 복구됐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