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인도법인의 현지 증시 상장이 이르면 다음달 마무리 된다. 이를 통해 LG전자는 1조8천억원 가까운 자금을 확보하며 미래성장을 위한 바탕을 닦게 됐다.
LG전자는 30일 이사회를 열고 인도법인 지분 15% 구주 매각을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이사회 결의에 따라 LG전자는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최종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르면 다음달 중 IPO(기업공개) 절차가 마무리 될 것으로 관측된다.
매각 지분은 인도법인 1억 181만 5859주다. 처분일과 금액은 정해지지 않았다.
LG전자는 SEBI의 최종 승인 이후 공모가 밴드와 처분 예정 일자를 다시 공시할 예정이다.
앞서 LG전자는 지난해 12월 상장예비심사서류를 제출하며 상장 준비를 본격화하고 지난 3월 SEBI로부터 상장 예비승인을 받았다.
당초 이르면 상반기 중 상장이 진행될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지만, LG전자는 4월 말 인도 증시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 변동성 등을 고려해 상장 일정에 신중을 기해 왔다.
이번 상장은 신주발행 없이 LG전자가 보유한 인도법인 지분 100% 중 15%를 매각하는 구주매출로 이뤄진다.
이는 조달 금액이 100% 본사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기존 주식만 매각해 지분 희석 우려가 없고 상장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자비용 등 금융 리스크 없이 대규모 현금 조달이 가능해 큰 폭의 재무건전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상장 이후 LG전자의 인도법인 지분율은 85%가 된다.
최근 현지 매체 등이 예상하는 공모 규모는 1150억 루피(우리돈 약 1조 8천억원) 수준이다.
이는 올해 2분기 말 LG전자 별도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 1조1천억원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 2월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는 "향후 LG전자 인도법인 기업공개가 회사 재무지표를 더욱 강화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최근 인도 자본시장 특수성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고 현지 사업을 가속화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월풀과 오라클, 무디스, 스즈키자동차, 네슬레 등이 인도에서 자회사를 상장하고 있다.
LG전자 인도법인의 예상 공모 규모를 고려하면 LG전자 인도법인의 시가총액은 12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는 인도 증시에 상장된 피어 그룹(비교기업)의 시가총액 규모와 비교할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인도 증시에서 월풀 인도법인 시가총액은 2조 4천억원, 인도 타타그룹 계열 가전기업 볼타스는 7조 2천억원 수준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