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AX' 위해 산학연 뭉쳤다…AI 선도사업 2030년까지 500개

삼성전자·현대차 등 AI 팩토리 선도사업 102개
2030년까지 500개로 확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정부가 1일 제조 현장에 AI를 신속하게 접목하기 위한 협의체 '제조 AI 전환(AX) 얼라이언스'를 열었다.

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장관은 이날 오후 팩토리 M.AX 얼라이언스 전략 회의를 개최하고 2030 제조 최강국을 위한 성과와 전략 등을 점검했다.

제조업(Manufacturing)과 AX를 결합해 M.AX(맥스)라고 이름 지어진 이번 협의체는 김 장관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공동 위원장을 맡았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LG엔솔, 삼성SDI, SK에너지, 삼성중공업, 한화시스템, LS전선, HD현대중공업, 농심 등 업종 대표기업들도 이날 회의를 계기로 AI 팩토리 선도사업에 참여한다. AI 팩토리 선도사업은 제조공정에 AI를 접목해 제조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제조비용과 탄소배출 등을 감축하는 프로젝트다.

삼성전자는 AI를 통해 HBM(고대역폭메모리반도체)의 품질 개선에 나선다. 사람이 수행중인 HBM 불량 식별 공정에 AI를 도입할 계획이다. AI가 발열검사 영상, CT 이미지 등을 분석해 품질검사의 정확도를 99% 이상 높이고 영상·이미지 등의 비파괴 검사를 통해 검사시간도 25% 이상 단축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HD현대중공업은 함정 MRO용(Maintain·Repair·Overhaul) 로봇 개발을 추진한다. 보통 선체의 10% 면적에 따개비·해조류 등의 오염물질이 부착되면 연료소비가 최대 40%까지 증가한다. HD현대중공업은 숙련공에 의존하던 해양생물 제거, 재도장 등의 작업을 AI 로봇에 맡긴다는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AI 다기능 로봇팔을 개발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힌지·도어 조립, 용접품질 검사 등 다양한 공정을 자율적으로 수행가능한 AI 로봇팔을 공정에 도입해 시장수요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생산성을 30% 이상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 등 신규 참여로 AI 팩토리 선도 사업은 현재 102개가 됐다. 산업부는 2030년까지 선도사업 수를 500개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제조 현장 휴머노이드 투입을 위한 실증 계획도 공개됐다. 올해부터 삼성디스플레이와 대한통운 등 디스플레이·조선·물류 등 6개 현장에 휴머노이드가 투입된다.

김 장관은 "AI 시대는 속도와의 전쟁이다. 우리 제조업이 가진 역량과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빠르게 세계 1위를 도전할 수 있는 분야가 바로 AI 팩토리이"라며 "AI 팩토리 얼라이언스라는 배가 세계 1위라는 목적지까지 순항할 수 있도록 눈앞의 규제라는 격랑은 과감히 부수고, 정책과 자원을 집중해 순풍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