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장관은 '12·3 내란' vs 합참의장은 '비상계엄'

안규백 장관 훈시, 진영승 신임 의장 취임사 엇갈린 표현

진영승 합참의장(왼쪽)과 안규백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전 대통령 등이 군을 동원해 국회 등 주요 기관을 장악하고 불법으로 비상계엄을 실행하려 했던 사태에 대해 국방부 장관과 신임 합동참모의장이 엇갈린 표현을 내놨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30일 합참의장 이취임식에서 훈시를 통해 신임 진영승(공군 대장) 의장에게 "12·3 내란 이후 임명된 첫 합참의장으로서 국민의 군대를 다시 세운다는 시대정신을 가슴 깊이 새기고 사명처럼 안고 굳세게 나아가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진 신임 의장에 대해 "탁월한 전략적 식견과 작전지휘능력, 훌륭한 인품을 두루 겸비한 매우 유능하고 덕망 높은 장군"이라고 평가한 뒤 "국군은 국민의 군대이다. 국민이 바라보고 있고, 역사가 바라보고 있다"며 이같이 당부했다. 
 
국방부는 이날 출범한 '내란극복·미래국방 설계를 위한 민관군 합동 특별자문위원회'의 명칭에도 '내란'을 명시함으로써 12·3 사태가 내란임을 공식화했다.
 
안 장관의 이런 언급과 입장은 지난 7월 25일 취임사에서 '12·3 불법 비상계엄 사태'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과도 다른 것이다.
 
30일 서울 국방부 연병장에서 진영승 신임 합참의장(왼쪽부터), 안규백 국방부 장관, 김명수 이임 합참의장이 단상에 서 있다. 연합뉴스

반면 진 신임 의장은 이날 취임사에서 '12·3 비상계엄'이라고 말했다. 그는 "먼저, 우리 군은 12·3 비상계엄을 극복하기 위해 혼연일체가 되어 국민의 군대로 거듭나야 하고, 다시는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오직 국민만을 바라보며 본연의 임무에 충실함으로써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데 신명을 바칠 것을 다짐한다"고 덧붙이며 12·3에 대해서는 비교적 짧게 언급했다. 진 의장은 다만 12·3 사태에 대한 언급을 가장 먼저 함으로써 강조점을 뒀다.
 
한편 국민의힘 소속 국회 국방위원들은 최근 "내란이라는 단어는 아직 사법적 판단이 남아 있는 영역"이라며 '12·3 내란' 표현을 비판한 바 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