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산업통상자원부에 광양시를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으로 지정해 줄 것을 공식 신청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지정 신청은 광양시의 철강 산업 편중으로 인한 지역 경제 위기에 선제 대응하고,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조치다.
광양 국가산단은 철강 산업이 생산의 88.5%, 수출의 97.6%를 차지하는 극단적인 산업 편중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 2년간 글로벌 공급 과잉, 중국산 저가재 수입 증가, 내수 부진 등이 겹치며 철강 매출과 생산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지역 경제 전반에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2025년 2분기 기준 광양 국가산단 1차 금속 산업 생산액은 2024년 대비 9.43%, 2023년 대비 7.45% 감소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 역시 주요 제품 매출이 모두 감소했으며, 지역 내 협력 중소기업들의 매출·생산·영업이익도 동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 인구 유출, 상권 침체, 신규 채용 감소 등 지역사회 전반의 위축도 빠르게 진행 중이다. 광양읍 주요 상권 공실률은 17.2%로, 전국 평균 10.2%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전남도는 이번 지정 신청과 함께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총 3천871억 원 규모의 지역 맞춤형 지원사업을 발굴해 정부에 건의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철강 R&D 및 제조혁신 기술개발 △고용안정 및 인력양성 지원 △중소·중견기업 금융지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및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 △노후산단 재생 및 AX지원센터 구축 등이다.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철강산업은 국가 기간산업인 만큼 광양시의 위기는 곧 국가 경쟁력의 위기"라며 "정부의 선제적 개입과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전남도는 지역산업 회복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모든 행정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광양시가 산업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되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국비 보조율 상향, 중소기업 대상 최대 10억 원 규모의 긴급경영안정자금 융자 우대, 보통교부세 가산,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등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폭넓게 적용된다.
산업위기 선제 대응 지역 지정 여부는 10월 중 산업부 현지실사, 11월 중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