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오영훈 제주지사가 민주당을 탈당하거나 무소속 출마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오 지사는 2일 제주도청 소통회의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앞으로의 정치일정에서 탈당이나 무소속 가능성이 존재하느냐'는 질문에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오 지사는 "지금 시점에서 그런 질문이 왜 나오는지 모르겠고 질문의 의도를 이해하기 어렵다"며 불쾌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재선 도전 여부를 묻는 질문에 오 지사는 "선거가 임박해서 결정하는 게 맞다"며 "임기 안에 많은 성과를 내서 도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재선 출마 여부를 미리 결정하거나 언급하는 것은 도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오영훈 지사의 행적에 의문을 제기한 모 변호사를 제주도청 차원에서 고발한 데 대해 오 지사는 "지사를 비롯해 도청 공직자들을 내란 세력으로 몬 부분 때문에 고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오 지사는 이어 "적절하지 않은 표현에 대해 피고발인의 입장이 바뀐다면 고발 취하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공약사항인 제주평화인권헌장 선포 문제와 관련해선 오 지사는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그는 "인권헌장을 반대하는 도민도 있고 임기가 끝난 '제주인권보장 및 증진위원회'가 부대의견을 달아 통과시킨 만큼 새로 구성된 위원회가 부대의견과 관련해 어떤 방식으로 의견 수렴을 할 지 논의가 필요하다"며 "그런 부분을 감안해서 평화인권헌장 작업을 준비할 것이고 서두를 생각은 없다"고 강조했다.
제주시 추자면 사수도 해상경계 관할 분쟁에 대해선 오 지사는 "2008년 헌법재판소에서 사수도는 제주도 관할이라고 전원합의 판결을 내렸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오 지사는 이어 "사수도는 이미 추자도 해녀들이 일관되게 조업을 하는 구역이고 임시 거처할 공간을 두며 해녀 2명이 지금도 작업을 하고 있다"며 관할권 문제로 비화되는 것을 경계했다.
서귀포 관광극장 철거 문제와 관련해 오 지사는 "보존과 철거 입장으로 나뉘는데 서귀포시가 시민 의견을 듣기 위해 관련 절차를 밟고 있고 그 의견을 고려해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보존하면서도 새로운 미술관 건립이 가능한지, 불가피한 것인지 등의 의견수렴 결과를 본 뒤 철거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도입 문제와 관련해선 "2027년이나 2028년 정도에 가능한 로드맵으로 말한 바 있다"며 "이재명 정부가 제주 기초자치단체 도입을 국정과제로 명시했는데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후 정부가 입장을 명확하게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한 뒤 "이 대통령의 임기 안에 국정과제가 실현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UAM(도심항공교통)의 관광분야 상용화가 지연되고 있는 데 대해 오 지사는 "국토부가 2028년 상용화 목표를 내세우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운항사업자가 컨소시엄을 구성할지, 기체 제조 회사가 운항사 역할을 할지 등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있다"며 "두바이나 일본에서 먼저 UAM을 상용화할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 정부도 국정과제에 반영했기 때문에 추진 의지는 확고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