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학 계열' 신입 여학생 비율, 꾸준히 증가…'이유를 봤더니'

종로학원 제공

의약학 계열 신입생 중 여학생 비율이 최근 5년간 꾸준히 늘고 있는 반면, 반도체학과 등 대기업 계약학과는 여학생 비율이 10% 중후반대로 낮게 형성됐다.
 
종로학원이 9일 전국 105개 대학(의대 39개, 약대 37개, 치대 8개, 한의대 11개, 수의대 10개 대학)의 '대학알리미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의대 신입생 중 여학생 비율 최근 5년간 꾸준히 늘어 지난 2021년 34.1%에서 올해 38.4%까지 상승했다. 2022년 35.2%, 2023년 36.2%, 지난해 37.7%였다. 
 
수도권에서는 한양대 35.5%, 고려대 34.9%, 가톨릭대 34.4%, 비수도권에서는 단국대(천안) 51.3%, 울산대 50.0%, 동아대 48.0% 순으로 높았다.
 
'빅5 병원'을 둔 대학의 경우 서울대는 31.3%, 연세대 31.8%, 성균관대 31.2%, 가톨릭대 34.4%, 울산대 50.0%를 기록했다. 특히 울산대 의대는 2021년 34.1%에서 올해 50.0%로 크게 올랐다. 
 
서울권 의대의 여학생 비율은 2021년 38.3% 2025년 38.4%로 소폭 늘고, 경인권은 27.8%에서 26.1%로 줄었지만, 비수도권은 33.0%에서 39.8%로 크게 늘었다. 
 
비수도권에서는 강원권이 29.1%→40.9%, 대구·경북권 26.8%→38.6%, 부산·울산·경남권 29.3%→39.7%, 제주 41.5%→44.3%, 충청권 35.8%→38.9%, 호남권 40.1%→40.9%로 모두 상승했다. 
 
수의대는 42.5%에서 50.4%로 높아졌고, 올해 대학별로는 경상국립대 64.0%, 서울대 60.0%, 전남대 58.0%, 제주대 52.5%, 충남대 51.9% 순으로 높았다. 
 
치대는 33.0%에서 38.1%로 높아졌고, 대학별로는 강릉원주대 51.3%, 원광대 45.0%, 조선대 38.8%, 단국대(천안) 37.1% 순으로 높았다. 
 
한의대는 2021년 43.5%, 올해 43.6%로 비슷했고, 올해 여학생 비율은 대전대 61.1%, 동신대 60.0%, 동의대 60.0%가 높게 형성됐다. 
 
종로학원 제공

2022년부터 학부로 전환된 약대는 여학생 비율이 2022년 54.9%에서 2023년 55.5%, 지난해 57.8%, 올해 58.1%로 매년 증가했다. 비수도권 약대는 2022년 44.3%에서 올해 51.2%로 상승했다. 대학별로는 인제대 81.3%, 원광대 73.8%, 우석대 65.0%, 제주대 63.3%, 전남대 60.0%, 전북대 60.0% 순으로 여학생 비율이 높았다.
 
종로학원은 "전문직인 의약학 계열에 대한 여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데다, 학교 내신도 남학생들에 비해 꼼꼼하게 관리하는 상황이 어우러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종로학원 제공

반면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포항공대, 한국과학기술원 등 주요 13개 대학의 반도체학과 등 대기업 계약학과의 여학생 비율은 2023년 13.3%, 지난해 17.7%, 올해 15.8%로 낮게 형성됐다.
 
종로학원은 "반도체학과 등 대기업 계약학과의 경우 물리 과목 등을 권장 이수 과목으로 요구하는 상황에서, 여학생들이 물리 과목을 기피하는 현상과도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2025학년도 수능 여학생 응시비율은 물리2는 18.0%, 물리1은 21.6%에 그친 반면, 생명과학1은 50.8%, 생명과학2는 48.3%로 높았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