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불붙은 중원…충북지사·청주시장 벌써 격전

김영환, 오송참사·돈봉투 리크스 악재…여야 대항마 꿈틀
이범석, 중대시민재해 발목…시외버스터미널 매각 격돌

자료사진

충북지역에서 벌써부터 내년 지방선거의 불이 붙었다.
 
특히 충청북도와 청주시는 현직이 모두 사법 리스크를 안고 있어 최대 격전이 될 전망이다.
 

김영환 충북지사 '오송참사' 책임론…돈봉투 악재

김영환 충북지사는 현재 악재의 연속이다.
 
김 지사는 검찰의 불기소 처분으로 짐을 덜어냈던 '오송참사'의 책임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지난달 진행된 국정조사에서 김 지사의 책임소재는 그야말로 십자포화였다. 여권은 김 지사에 대한 검찰의 부실 수사 의혹에 초점을 맞췄다.
 
김 지사에 대한 봐주기 수사와 검찰의 무능을 동시에 공격하며 '검찰개혁'의 당위성을 쌓아갔다. 야당은 음모론이자 정치 탄압이라고 맞섰지만, 김 지사의 책임론을 막지는 못했다.
 
김영환 충북지사. 충청북도 제공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김 지사에 대한 재수사와 재발 방지 대책, 유가족 지원 방안 등이 담긴 국정조사 결과보고서를 채택했다.
 
김 지사는 국정조사 과정에서 수차례 허위 진술을 했다는 짐까지 떠안았다. 범여권 의원들은 김 지사를 위증 혐의로 고발하는 안건도 통과시켰다.
 
지역 체육계 인사들로부터 돈봉투를 받았다는 의혹까지 터졌다.
 
김 지사는 지난 6월 일본 출장을 떠나기 직전 지역 체육계 인사 2명으로부터 500만 원을 받은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김 지사는 혐의를 완강히 부인하면서도 정작 경찰 조사에서는 소명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경찰의 압수수색이 위법하다는 이유로 법원에 준항고를 냈다.
 
오송참사 국정조사. 연합뉴스

사법 리스크가 겹치면서 김 지사의 재선 가도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도백(道伯) 탈환을 노리는 여권의 움직임은 더욱 빨라졌다.
 
3선 연임 제한에 걸리는 송기섭 진천군수는 일찌감치 본격 도지사 선거 행보에 나선 모양새다. 노영민 전 청와대 비서실장도 최근 내부 교통정리를 마치고 본격적인 선거 준비에 돌입했다.
 
여기에 도종환 전 장관과 한범덕 전 청주시장도 후보군에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는데다, 중부3군 재선의 임호선 국회의원까지 출마 가능성을 내비친 것으로 전해지면서 선거판이 출렁이고 있다.
 
신용한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 역시 지사 선거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국민의힘에서는 3선의 조길형 충주시장이 가장 먼저 도전장을 낸 데 이어 윤희근 전 경찰청장, 박경국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장의 출마설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범석 청주시장 '사법리스크'…여야 후보군 난립

이범석 청주시장. 최범규 기자

충북의 수부도시인 청주시도 지방선거 시계가 한층 빨라졌다.
 
이범석 청주시장의 가장 큰 리스크는 '오송참사'다.
 
이 시장은 현직 프리미엄의 이점을 살려 내년 지방선거에서 청주시 첫 재선 시장 도전에 나설 것으로 보이지만, 오송참사 재판이 발목이다.
 
이 시장은 김 지사와 달리 오송참사의 책임을 물어 지난 1월 중대시민재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이 시장 측은 최대한 빨리 1심에서 무죄 선고를 받아내 사법 족쇄를 풀어야 하는 입장인데, 재판 속도는 더디기만 하다.
 
특히 단 한 번도 재선 시장을 허락하지 않았고, 역대 지방선거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집권 여당에 우호적이었던 청주 민심 역시 부담이다.
 
청주시외버스터미널. 최범규 기자

최근 발표한 시외버스터미널 매각 계획은 지방선거에 더욱 불을 댕겼다.
 
시외버스터미널을 민간에 매각해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청주시의 계획은 민주당 후보군의 등장을 앞당겼다.
 
이장섭 전 국회의원은 터미널 민간 매각의 즉각 철회를 촉구하며 재기에 나섰다.
 
허창원 전 충북도의원 역시 터미널에 대한 공공성과 미래가치를 전면에 내세우며 본격 등판했다.
 
청주시의회에서 터미널 매각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제기하며 맹공을 퍼부었던 박완희 시의원은 이달 말쯤 출마 선언을 염두에 두고 외연 확장에 집중하고 있다.
 
김형근 전 가스안전공사 사장과 유행렬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도 자천타천 후보군에 거론되고 있다.
 
국민의힘 후보군으로는 김동원 청주흥덕 당협위원장과 손인석 전 충북도 정무특보, 황영호 충북도의원 등이 꼽힌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