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남쪽을 겨냥한 무기의 성능을 개량, 무장장비전시회를 통해 공개함으로써 위협의 수위를 높였다.
조선중앙통신이 5일 보도한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 관련 보도 사진에는 '화성-11마'라고 적힌 미사일 탄두가 포착됐다.
화성-11형은 북한의 대표적인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인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의 제식 명칭이다.
KN-23은 그간 철도 발사, 수중 발사 등 다양한 발사 플랫폼이 식별됐고 비행거리도 최대 800㎞를 넘나드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남측을 타격하기 위해 북한이 가다듬고 있는 무기체계다.
이날 공개된 화성-11마는 극초음속 활공체(HGV) 형상의 탄두를 장착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북한이 가장 많이 시험 발사한 미사일 중 하나이고 우크라이나 전장에 러시아를 위해 제공해 실전에서도 어느 정도 성능이 확인된 KN-23의 안정적인 발사체에 극초음속 탄두를 얹는 형태로 개량한 것으로 추정된다.
비행 특성 등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HGV 탄두를 장착한 점으로 미뤄 마하 5 이상의 속도로 저공 비행하며 한미 대공 방어망을 회피하고 주요 표적을 타격하고자 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이날 연설을 통해 "한국 지역의 미군 무력 증강과 정비례해 이 지역에 대한 우리의 전략적 관심도도 높아졌으며, 따라서 우리는 특수자산을 그에 상응하게 중요 관심 표적들에 할당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적들은 자기의 안보 환경이 어느 방향으로 접근해 가고 있는가를 마땅히 고민해야 할 것"이라며 "한국 영토가 결코 안전한 곳으로 될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은 그들 스스로가 판단할 몫"이라고 강조했다.
이같은 김 위원장의 발언은 화성-11마 극초음속 미사일이 한국의 주요 표적들을 겨누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러시아 3M-54E 순항미사일과 유사한 외형의 초음속 순항미사일도 전시회에 등장했다.
3M-54E는 종말 단계 속도가 마하 2.9에 달하는 무기로, 북한이 러시아 기술을 들여와 최현급 구축함 등에서 운영할 경우 한국 수상함 등에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동식 발사대(TEL)에 실린 다연장 로켓으로 추정되는 무기체계가 사진상 흐릿하게 처리된 모습으로 나온 장면도 식별됐다.
극초음속 미사일 등 주요 무기체계도 여과 없이 공개하는데 비교적 평범한 다연장 로켓의 모습을 일부러 가린 것은 러시아의 기술 지원을 숨기기 위한 것일 가능성 등이 제기된다.
미국 본토를 위협하는 목적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과 화성-19형도 나란히 등장했다.
단거리부터 장거리까지 모두 타격이 가능하다는 자신감을 표현한 것으로, 김 위원장은 "핵 억제력을 근간으로 하는 조선의 군사력 구조를 부단히 현대화·고도화해온 중대 사업의 최근 결실들"이라고 자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