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병원 간호사의 작은 결심 그리고 찾아온 큰 생명

박성원 울산대병원 간호사, 백혈병 환자에 조혈모세포 기증
고교 시절부터 헌혈·대학 시절 기부 등록, 입사 첫해 실천
"가족들 걱정…한 생명 살린다는 감사함이 두려움보다 더 커"

박성원 울산대학교병원 간호사는 최근 백혈병 환자에게 조혈모세포를 기증했다. 울산대병원 제공

"조혈모세포 기증을 망설이는 분들에게 용기가 되었으면 해요."

박성원 울산대학교병원 간호사가 백혈병 환자에게 조혈모세포를 기증한 뒤 전한 말이다.

박 간호사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정기적으로 헌혈을 해왔다. 대학 시절인 2021년 조혈모세포 기증 희망자로 등록했다.

2025년 울산대병원 입사 후 혈액종양내과 병동에서 근무했다. 환자들을 가까이서 지켜보며 조혈모세포 기증 필요성을 느꼈다.

박 간호사는 지난 7월, 환자와 조직적합성항원(HLA)이 일치한다는 연락을 받았다.

망설임 없이 기증을 결정하고, 꾸준한 운동과 식단을 거쳤다. 지난달 말 기증을 마쳤다.

박 간호사는 "등록할 때부터 언젠가는 누군가를 도울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며 "막상 기증을 앞두고 가족들의 걱정도 있었다. 그러나 한 생명을 살릴 수 있다는 감사함이 두려움보다 더 컸다"라고 말했다.

한편, 조혈모세포 기증은 백혈병, 림프종 등 혈액암 환자에게 생명을 이어줄 수 있는 유일한 치료법이다.

하지만 실제 기증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적다.

한국조혈모세포은행협회에 따르면 기증 희망자로 등록된 45만여 명 가운데 실제 기증으로 연결되는 비율은 약 10% 수준이다.

기증 희망을 등록을 해도 중간에 건강상 이유나 두려움, 가족 반대로 기증 직전 번복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