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폭탄에도 전장 선전 등에 선방…LG전자, 3분기 영업익 6889억

관세·희망퇴직 영향에 수익성 부담…전장, 역대 최대 수익 기록 전망
B2B 등 '질적 성장' 집중…인도 IPO 계기로 체질 개선·미래성장 가속

박종민 기자

대미(對美) 관세 부담 본격화 등에도 불구하고 LG전자가 주력사업인 생활가전과 기업간거래(B2B) 핵심인 전장(차량용 전자·전기장비) 사업의 선전에 힘입어 올해 3분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냈다.

LG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688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8.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3일 공시했다.

이는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컨센서스(시장전망치 평균)인 6004억원을 웃도는 것이다.

매출은 21조천75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줄었다. 역대 3분기 중에선 2번째로 높은 매출액이다.

LG전자는 "생활가전이 사업 경쟁력과 시장 지위를 공고히 유지했고, 전장이 역대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기록한 것으로 전망되는 등 주력 사업과 미래 사업이 고르게 선전해 시장 우려를 상쇄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통상 환경 변화로 인한 관세 부담과 인력 선순환 차원에서 희망자에 한해 진행한 희망퇴직 등 비경상 요인이 전사 수익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으로 생활가전은 미국 수출 물량의 관세 부담, 글로벌 수요 회복 지연에도 프리미엄 시장에서 지배력을 유지했으며, 볼륨존(가장 큰 소비 수요를 보이는 영역) 영역에서도 안정적인 성과를 냈다고 LG전자는 자평했다.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해 생산지 운영 및 자원 투입 최적화 등 노력을 지속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구독 사업을 꾸준히 성장시킨 결과라고 LG전자는 분석했다.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사업은 인력 선순환 차원에서 실시한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인식됐고, 사업 관점에서 TV 판매 경쟁 심화로 마케팅비가 증가했다.

LG전자는 웹(web)OS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해 수익구조 다변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타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TV 수요가 견조한 '글로벌 사우스' 공략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전장 사업은 올해 3분기에 역대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기록했을 것으로 LG전자는 전망하고 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사업의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가 수익성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램프, 전기차 구동 부품 사업도 높은 수주잔고를 기반으로 향후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한다고 LG전자는 밝혔다.

냉난방공조 사업은 상업용 공조시스템 및 산업·발전용 칠러를 앞세워 미래 사업 기회를 확보하고, 차세대 기술로 평가받는 데이터센터향 액체냉각 설루션 상용화도 준비해 나간다는게 LG전자의 계획이다.

LG전자는 전장·냉난방공조 등 B2B와 가전 구독·webOS 등 비하드웨어(Non-HW), 온라인 사업 등으로 대표되는 '질적 성장' 영역에 집중하며 사업의 펀더멘털(기초여건)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인도법인 상장을 계기로 대규모 자금 조달을 계획 중인 만큼 사업 체질 개선과 미래 성장에 더욱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이달 말 연결 기준 순이익을 포함한 3분기 확정 실적과 사업 본부별 경영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