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 공흥지구 특혜 의혹'으로 수사를 받다가 숨진 채 발견된 양평군 공무원 A씨에 대해 김건희 특검(민중기 특별검사)이 재차 조의를 표하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모든 수사 상황과 방식을 면밀히 재점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형근 특검보는 13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고인이 되신 양평군 공무원분에 대해 다시 한번 진심으로 조의를 표하고 유족분들에게도 깊은 위로의 말씀 드린다"며 "특검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모든 사건의 수사 상황 및 수사 방식을 면밀히 재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사건 관계자들의 인권 보호에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더욱 만전을 기하겠다"며 "다시 한번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덧붙였다.
특검 측 설명에 따르면 당시 A씨가 동의하지 않아 조사 과정에서 영상 녹화는 이뤄지지 않았다. 다만 특검 관계자는 "조사실 내부 녹화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필요하다면 조사 전후나 휴식·식사 시간·귀가 과정 등이 녹화된 CCTV가 남아 있다면 이를 확인해 간접적으로 조사 상황을 파악할 수 있지 않을까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특검은 A씨를 조사한 수사관들에 대해 감찰에 준하는 내부 조사에 돌입했다. 다만 수사관들은 업무에서 배제된 상태는 아니라고 한다. 특검 관계자는 "사실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관련된 모든 부분을 확인하고 있다"며 "'감찰에 준해서'라는 표현을 쓴 것은 철저하게 객관적으로 증명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김건희 특검은 지난 2일 '양평 공흥지구 특혜 의혹'과 관련해 A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A씨는 지난 10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 측이 지난 10일 공개한 A씨의 자필 메모엔 "특검에 처음 조사받는 날 너무 힘들고 지친다", "이 세상을 등지고 싶다" 등의 내용과 함께 특검의 강압 수사를 토로하는 취지의 내용이 담겼다.
그러면서 A씨는 "모른다고 기억 안 난다고 사실대로 말을 해도 계속 다그친다. 사실을 말해도 거짓이라고 한다"며 "수사관의 강압에 전혀 기억도 없는 진술을 했다"고 썼다.
앞서 특검은 A씨가 숨진 지난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고인이 되신 양평군 공무원에 대해 진심으로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게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A씨에 대해 강압적인 분위기의 조사나 회유는 없었다고 해명한 바 있다.
한편 김건희 특검은 이른바 '매관매직 의혹'으로 소환 통보를 받았으나 이날 불출석한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을 오는 20일 재소환했다. 이 전 위원장은 이날 오전 변호인을 통해 건강상 사유로 출석이 어렵다는 의사를 밝혔다.
특검은 이 전 위원장이 금거북이 등을 윤석열 전 대통령 당선 직후인 2022년 3월쯤 김건희씨 측에 전달하며 인사 관련 청탁을 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하고 있다. 이 전 위원장은 2022년 9월 초대 국가교육위원장에 임명됐으나 '매관매직 의혹'이 일자 지난달 1일 사의를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