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년 만의 강릉 가뭄 사태를 계기로 강원특별자치도차원의 광역 단위 물 관리 통합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강원도의회 제341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김용래 의원(국민의힘·강릉)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이제는 단기적 위기 대응을 넘어 지속 가능한 물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취수원 다변화와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하수와 하천수를 함께 활용하는 복합 취수 시스템을 구축하고, 노후 상수도관 교체로 누수율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스마트 관망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수량·수질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이상 상황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관광 수요가 급증하는 강원도의 특성을 반영한 계절별 물 사용량 예측과 대규모 행사·피서철 수급 시뮬레이션 상시 운영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이번 강릉의 물 부족 사태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니라 기후 변화와 인프라 한계, 행정의 구조적 문제가 맞물린 복합 위기라고 진단했다.
"불규칙한 강수 패턴과 반복되는 가뭄으로 기존 수원지와 저수지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했고, 노후화된 상수도 시설과 정수 처리 한계, 도시 확장과 관광객 급증이 맞물려 급수 체계가 흔들렸다"고 분석했다.
가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공직자와 시민들에게 감사를 전하면서도 응급 조치가 아닌 통합 물 관리 시스템의 구축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김 의원은 "각 시·군의 개별적 노력에 그치지 않도록 강원도가 광역 단위의 물 관리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아야 한다"며 "도 전역의 수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가뭄은 강릉만의 문제가 아니라 강원 전역의 문제였다. 지역별 여건이 다르더라도 위기 상황에서는 서로 연결되고 협력할 수 있는 체계를 미리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수도, 빗물 재활용, 절수기기 보급 등 생활형 절수 정책 확대도 주문했다.
김 의원은 "강원도가 이번 위기를 계기로 '기후위기 대응형 물 관리 선도 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적극 나서야 한다"며 "의회 역시 예산과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강원CBS와 강원영동CBS는 기획보도 <물의 경고>를 통해 '강릉 가뭄 사태'를 단순한 자연현상이 아닌 기후위기의 경고이자 물 관리 정책 전환의 분기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전했다. 이어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