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식용 종식법 통과 후 수입산 급증에 국내 흑염소 농가 생존 기로

수입 염소 두 배 폭증…국산 생산량 정체로 시장 잠식
원산지 혼란·분뇨 처리 한계 등 구조적 문제 심각
문금주 의원, "염소 이력제·수입 쿼터제·품종개량 등 산업 보호대책 시급"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국회의원. 문금주 의원실 제공

개 식용 종식법이 통과된 이후 국내 흑염소 농가들이 흑염소가 보양식 시장의 대안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고 사육 규모를 확대했지만 수입산이 급증하면서 시장을 잠식해 불과 1~2년 만에 그 기대가 절망으로 바뀌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 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 흑염소 사육두수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생산량은 5천톤 안팎에서 정체된 반면 수입량은 급증했다 .
 
염소 수입량은 2022년 3322톤에서 2024년 8143톤으로 두 배 이상 폭증했다. 2023년에는 국내 생산량은 4991톤, 수입량은 5995톤으로, 수입량이 더 많아졌고 2025년 8월까지 이미 6790톤이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재래종 흑염소는 성장 속도가 느려 1년 이상 키워도 50kg 전후에 불과하지만 수입 보어종은 12개월 만에 60~100kg 이상 자란다. 이로 인해 가격 경쟁력에서 국산은 수입산의 상대가 되지 않는다.
 
실제 경매가격 기준으로 2023년 평균 66만원이던 흑염소 마리당 가격은 2025년 상반기 52만원 수준으로 급락했다. 일부 농가에서는 kg당 7천원~8천원에 판매하는 상황까지 내몰리며 키울수록 손해 라는 자조가 나오고 있다.
 
전남 강진과 장흥 지역은 축산농가가 밀집한 곳으로, 흑염소 사육 농가의 분뇨 처리 문제도 심각하다. 인근 장흥의 퇴비·분뇨 처리시설이 외부 반입을 제한하면서 농가들은 분뇨를 제때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분뇨는 쌓이고 축사는 규제에 묶이며 농가의 부담만 가중되는 이중고가 이어지고 있다.
 
문금주 의원은 "국내 흑염소 산업의 구조적 붕괴는 정부의 무관심과 방치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소·돼지·닭·오리처럼 흑염소에도 이력제를 도입해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을 추적 관리하고 수입량이 국내 생산량을 넘어서는 비정상적 시장 구조를 바로잡기 위해 '수입 쿼터제'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가 개 식용 종식 이후 흑염소 산업을 대체 보양식으로 육성하겠다고 했지만 실질적 지원은 전무하다"며 "흑염소 산업을 단순한 틈새 축종이 아닌 지역경제와 농가 생계를 지탱하는 전략산업으로 인식하고 근본적인 보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