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가 출입 기자들에게 '미승인 정보' 보도를 제한하는 내용의 서약서를 요구하자, 국방부 기자단이 "대중의 정보 접근을 차단하려는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앞서 국방부는 출입 기자들에게 기밀이 아니더라도 통제 대상 정보나 승인되지 않은 내용을 허가 없이 보도할 경우 출입증이 박탈될 수 있다는 조항이 포함된 서약서에 14일(현지시간) 오후 5시까지 서명하도록 요구했다. 서명을 거부한 기자는 출입증을 반납해야 한다.
펜타곤 언론인협회(Pentagon Press Association)는 13일 이번 조치를 "언론 통제를 강화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하며 "국방부 출입 기자들의 보도는 단순히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한 것이 아니라, 매일 임무를 수행하는 미군의 안전과도 직결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방부의 출입 제한은 언론 전체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백악관과 국무부 출입기자협회도 국방부 기자단의 입장에 지지 성명을 냈다.
워싱턴포스트(WP), AP통신, 로이터통신, CNN, 뉴욕타임스(NYT), 월스트리트저널(WSJ), NPR, 애틀랜틱 등 주요 언론사는 모두 서명 거부 방침을 밝혔다. 영국 일간 가디언 역시 보도 지침 거부에 동참했다.
현재까지 서약서에 서명 의사를 밝힌 언론사는 우익 성향의 방송매체 '원 아메리카 뉴스' 한 곳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 주요 언론들은 이번 국방부 방침이 헌법을 정면으로 위반하고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한다고 비판했다.
워싱턴포스트의 맷 머리 편집국장은 "정보 수집과 공개를 불필요하게 제한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 수정헌법 1조의 근간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는 국방부뿐 아니라 정부 전반의 정책과 입장을 열정적이고 공정하게 계속 보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타임스의 리처드 스티븐슨 워싱턴지국장도 "매년 1조 달러(약 1430조원)에 달하는 국민 세금이 투입되는 미군의 운영을 언론이 감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국민은 정부와 군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