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자성대부두 일대에 대규모 화물차 공영 주차장이 조성됐지만 여전히 임시방편에 불과해 영구적인 차고지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부산지역 공영차고지 확보 비율이 정부 권고사항에도 못 미치는 만큼, 사업 우선순위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14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부산항만공사(BPA)는 지난달 1일부터 '자성대 부두 임시 화물차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기존 '우암부두 임시 주차장'을 대체 하기 위한 차고지로, 전체 7만 7천 ㎡ 면적에 화물차 421대가 동시에 주차할 수 있는 시설이다.
210면 규모의 우암부두 임시 주차장은 2023년부터 2년 동안 운영된 뒤 '해양산업 클러스터 개발 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지난 8월 31일 문을 닫았다. 기존에 운영하던 주차장보다 2배 가까이 넓은 시설이 문을 연 만큼 도심 지역 화물차 주차난이 일부 해소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문제는 자성대 부두 주차장이 문을 닫은 뒤에는 이를 대체할 뾰족한 대안이 없는 점이다. 현재 BPA와 부산시 계획에 따르면 자성대 부두 주차장은 북항 2단계 재개발이 계획에 따라 2027년 12월까지만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이마저도 북항 재개발 계획 속도에 따라 앞당겨질 수 있어 시설 명칭부터 '임시'라는 표현을 반영했다.
관계 당국은 이를 대체할 부지조차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2027년 강서구 봉림동 일대에 190여 면 규모의 공영 차고지가 문을 열 예정이지만, 규모나 위치상 북항 등 도심지역 화물차 주차난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부산지역 공영차고지 확보 비율은 정부의 권고 사항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부산에 있는 공영차고지는 주차장과 휴게시설을 모두 포함해 2300여 면에 불과하다. 부산지역 차고지 등록 의무 대상인 1.5t 이상 영업용 화물차는 3만 6천 대에 달해, 공영차고지 확보 비율은 6%대에 머물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까지 시행한 '제4차 화물자동차 휴게시설 확충 종합계획'에서 공영차고지 비율을 10% 이상으로 권고한 바 있다.
운수업 종사자들은 장기적이고 영구적인 공영 차고 시설 마련 계획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차고지 확보는 화물 노동자를 위한 복지 정책에 그치지 않고 물류 산업 전반과 교통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만큼, 사업 우선순위를 지금보다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 관계자는 "당장 북항지역 차고지가 턱없이 부족하다. 허치슨부두와 신선대감만터미널 등은 재개발 사업과 별개로 그대로 운영되기 때문에 여기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화물차가 주차할 공간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신항과는 권역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북항에도 부지를 확보하고 주차장을 확충하기 위한 계획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관계 당국은 도심지역에 공영 차고 부지를 확보하기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면서도, 차고지 확보 계획은 계속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부산항만공사 관계자는 "아직 자성대 부두 임시 활용이 종료된 뒤 어떻게 할지는 확정된 계획이 없다. 북항과 가까운 도심에는 부지를 확보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부산시와 계속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2027년에 강서구 봉림동에 193면 규모의 공영차고지가 문을 열면 북항지역 주차 수요도 일부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내년에 몇 개 부지를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는 등 최종적으로 10% 이상의 공영차고지를 확보하기 위한 계획을 계속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