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그룹이 정부의 생산적금융 정책에 발맞춰 'BNK부울경지역형 생산적금융'을 본격 추진하며 지역금융 대전환에 나선다. BNK는 14일 그룹 차원의 '생산적금융협의회'를 출범하고, 부울경지역의 미래산업 육성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생산적·포용금융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협의회는 그룹 경영진으로 구성된 컨트롤타워로, 지역균형발전 정책과 BNK의 지역형 금융 전략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신설했다. BNK는 내년 한 해 동안 △지역 산업 육성 중심의 생산적금융 20조원 △청년·서민층 지원을 위한 포용금융 1조원 등 총 21조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조선·해양 등 지역특화산업과 AI·항공·2차전지 등 첨단전략산업에 집중 투자해 지역의 산업생태계 고도화를 지원한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개발 등 해양산업 전반에도 자금을 집중 투입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BNK는 국민성장펀드와 동남투자공사, 캠코 등과 협력해 투자처를 발굴하고, AI 기반의 투자심사 시스템을 도입해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큰 사업에 신속하게 자금을 공급할 방침이다. '투자생산성지수'를 자체 개발해 사업별 생산성과 고용창출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체계도 마련한다.
비은행 계열사인 BNK투자증권, BNK자산운용, BNK벤처투자는 지역기업 IPO(기업공개)와 SPAC(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 상장, 혁신펀드 조성 등을 통해 창업·혁신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BNK는 포용금융 대전환을 추진한다. 금리와 상환방식을 고객이 직접 결정할 수 있는 상품을 도입해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AI·데이터 분석 기반의 맞춤형 지원으로 청년 소상공인, 고령층, 서민금융 수요층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정밀 지원한다.
BNK는 이미 시중은행 평균 대비 높은 중소기업대출 비중(약 90%)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번 전략을 통해 '지역특화금융 전문그룹'으로서 입지를 한층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빈대인 BNK금융그룹 회장은 "지역이 성장해야 금융이 성장한다고 믿고 지역금융의 본질에 집중하고 있다"며 "부울경형 생산적금융을 통해 지역이 균형발전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