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방역당국이 예방수칙 준수와 예방접종 참여를 당부했다.
1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3월 27일 일본뇌염 주의보와 지난 8월 1일 경보 발령 이후 첫 일본뇌염 환자가 나왔다.
확인된 환자는 30대 남성으로, 지난달 16일 발열(39℃), 오한, 두통, 오심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한 뒤 의식 저하로 입원 치료 중이다.
경기보건환경연구원과 질병청의 진단 결과 회복기 혈청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해, 일본뇌염으로 확진됐다. 역학조사 결과 최근 캠핑 이력이 있었으며, 모기 물림이 확인됐고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대부분 8월부터 11월 사이 발생하며, 9~10월에 전체 환자의 80%가 집중된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전체 환자의 87.9%를 차지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 두통 등 경증으로 지나가기도 하지만, 일부는 뇌염으로 진행돼 고열, 발작, 경련,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가운데 20~30%는 사망하며, 생존자의 30~50%는 신경계 후유증을 겪는다.
질병청 관계자는 "작은빨간집모기는 전국에서 10월까지 활동한다"며 "모기 물림을 피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단·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뇌염은 예방백신으로 막을 수 있는 질환이다. 국가예방접종 대상인 12세 이하 어린이(2012년 이후 출생)는 정해진 일정에 따라 접종해야 한다.
불활성화 백신은 생후 12~23개월에 1개월 간격으로 1·2차를 맞고, 3차는 2차 후 11개월 뒤, 4·5차는 각각 6세와 12세에 맞는다. 생백신은 12~23개월 사이 1차, 1년 뒤 2차를 접종한다.
또 18세 이상 성인 중 △논·축사 인근 등 위험지역 거주자 △전파 시기 위험지역 활동 예정자 △일본뇌염 유행국가 여행자 등에게도 예방접종(유료)을 권장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최근 매개모기가 증가하고 있고, 10월부터 일본뇌염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시기"라며 "야외활동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해야 한다"고 당부했다.